(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원전해체 기금의 건전성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확보 여부가 원전해체 전략과 사업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창락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는 28일 오후 부산 기장군에 있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대강당에서 열린 '원전해체와 방사선의학 심포지엄'에서 "원전해체를 하려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이 필요하고 만약 이것이 안된다면 중간저장시설 설치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는 경주에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이 있으나 고준위 폐기물 처분장은 없는 상태다.
김 교수는 "미국은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8개 중 4개가 이미 폐쇄됐고 원전해체 과정에서 극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량을 늘려 신속히 해체하고 있지만 영국은 해체비용과 폐기물 처분장 문제로 최대 100년간 지연 해체를 하고 독일은 최종처분장이 없어 사용후핵연료를 원전 밖으로 배출하지 못해 원전 시설에 창고를 만들어 고준위 폐기물을 저장하고 있다"고 해외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2025년까지 전 세계에서 316기의 원전이 해체 예정이어서 원전 해체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며 "수십 년이 걸리는 원전 해체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관련 제도와 법규 정비가 필수적이고 해체기금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전해체와 방사선의학 관련 전문가 80여 명이 참가한 이날 행사에는 원전해체와 관련된 방사선의학, 원전해체 전망과 향후 등에 관한 주제가 다뤄졌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 양승오 주임과장이 '방사선의학의 역사와 현황',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한은옥 교수가 '원전해체와 사회적 소통', 방사선보건원 이종근 박사가 '원전해체와 방사선역학',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 이홍제 과장이 '원전해체와 디지털 건강관리', 방사선보건원 최승진 박사가 '원전해체 시 응급의료 구호' 등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c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