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팜 확산 대책 발표…스마트팜 혁신밸리 4곳 조성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정부가 2022년까지 스마트팜 연관 산업의 일자리 4천300개를 만들고 스마트팜 청년 전문인력을 600명 이상 양성한다.
청년층의 스마트팜 유입을 늘리기 위해 전문 교육과정 신설 및 임대형 스마트팜을 운영하고 첨단 기술이 집적화된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농장인 '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스마트팜은 ICT를 온실·축사 등에 접목해 스마트폰, PC를 통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농장을 의미한다.
작물 생육정보와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생육환경을 조성해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번 대책은 농가 단위로 추진됐던 기존의 스마트팜 보급 전략을 보완해 혁신 모델을 창출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를 위해 청년 농업인력 양성, 전후방 산업으로 연관 효과 확대, 집적화된 확산거점 조성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산업에 청년 예비창업자들이 대거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내년부터 1년8개월의 장기 교육과정인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을 신설해 2022년까지 600명 이상의 전문인력 양성할 계획이다.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 농업인 등이 막대한 초기 시설투자 없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도 스마트팜 창업이 가능하도록 2021년까지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30㏊가 조성된다.
1인당 최대 30억원 한도 내에서 연금리 1%에 대출지원을 하는 '청년 스마트팜 종합자금' 운영을 비롯해 오는 7월에는 창업 5년 이내 경영체에 투자하는 농식품 벤처펀드(2018년 125억원)가 결성된다.
스마트팜 전후방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부터 제품테스트, 창업·전시·체험 기능을 갖춘 '스마트팜 실증단지' 구축도 추진된다.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스마트팜 관련 연구·개발(R&D)을 강화하는 한편 중동, 중앙아시아 등 전략 지역에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을 위해 기업·연구기관·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스마트팜 수출연구사업단'을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기업·농업·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등을 통해 '한국형 프리바(Priva)'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프리바는 세계 최고 수준의 온실 환경제어시스템을 생산하는 네덜란드 기업이다.
2022년까지는 청년 보육센터, 임대형 스마트팜, 실증단지 등이 한곳에 모인 대규모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전국에 4개소 조성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를 의미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17년 현재 시설원예 4천10ha, 축사 790호인 스마트팜 규모를 2022년까지 7천ha, 5천750호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시설원예 7천㏊는 현대화된 온실(약 1만500ha)의 70%, 축산 전업농(약 2만3천호)의 약 25% 규모다.
아울러 스마트팜 규모 확대에 따른 연관 산업 성장으로 4천300여개의 일자리가 조성될 것으로 농식품부는 내다봤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