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첨단기술 견제에 시진핑, "핵심기술 서둘러 확보" 지침

입력 2018-04-22 12:24  

美 첨단기술 견제에 시진핑, "핵심기술 서둘러 확보" 지침




(상하이=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미국이 중국의 통신장비업체 ZTE에 대한 제재로 대중 무역전쟁의 초점을 미래 산업으로 옮기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첨단기술 육성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22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20∼21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국 인터넷 안전 및 정보화 공작회의에서 "정보화를 중화민족을 위한 천재일우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IT 영역의 핵심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요구했다.
시 주석은 2년 전 인터넷안전 및 정보화 좌담회에서 언급했던 "핵심기술은 나라의 가장 귀한 보배"라는 말을 재언급하며 "결단과 끈기를 갖고 정확한 중심을 잡아 정보 영역의 핵심기술 돌파를 가속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신은 또 뤄원(羅文) 공업정보화 부부장을 인용해 앞으로 제조업 기술개발에 자원 투입을 대대적으로 늘릴 것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중국의 기술개발 투자 확대는 최근 미중 통상분쟁 과정에서 미국이 중국의 미래 제조업 육성 전략인 '중국제조 2025'를 겨냥해 고율의 징벌관세를 부과키로 한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중국 지도부가 자국의 미래 전략산업을 겨냥한 미국의 견제와 제재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미국 정부가 이달초 고율의 징벌관세를 부과키로 한 1천300종의 중국산 수입품에는 항공우주, 의약, 통신, 전기, 기계 등 '중국제조 2025'에 속한 과학기술 제품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
홍콩 성도(星島)일보는 또 최근 미국의 ZTE 제재는 중국 기업들이 외국산 반도체에 의존하고 있던 치명적 약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첨단 기술산업의 진흥 필요성을 재인식하게 했다고 전했다.
인이민(殷一民) ZTE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의 ZTE에 대한 7년간 기술수출 금지는 "회사를 쇼크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며 "모든 직원에 직접 손해를 주는 것은 물론이고 전세계의 통신사 고객과 소비자, 주주의 이익에도 파급된다"고 주장했다.
시 주석이 주재한 이날 회의는 미국의 기술 견제에 대한 중국의 위기감 속에서 열린 회의였다. 기존 중앙인터넷안전 및 정보화 영도소조가 상설 위원회로 승격된 후 처음 열린 회의이며 2년전 좌담회 형식으로 열렸던 것을 공식화한 것이기도 하다.
주임인 시 주석을 필두로 부주임인 리커창(李克强) 총리와 왕후닝(王호<삼수변+扈>寧) 중앙서기처 서기와 함께 리잔수(栗戰書), 왕양(汪洋), 자오러지(趙樂際), 한정(韓正) 등 7명의 상무위원이 전원 참석했다.
시 주석은 이날 회의에서 "기술, 산업, 정책에서 공동으로 역량을 발휘해 금융, 세제, 재정, 무역, 인재, 지식재산권 보호 등 제도환경을 완비하고 기초 연구와 기술 혁신을 연계시켜 응용기술 장벽을 한꺼번에 돌파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어 "중국은 중국 특색의 인터넷 관리의 길을 걸어야 한다"며 '인터넷 안보'를 강조했다. 또 "인터넷안전 없이는 국가안보도 없다"면서 "인터넷 보안의 응급 지휘능력을 강화하고 문제를 미연에 막아야 하며 해킹, 보이스피싱, 개인정보 유출 등 범죄도 척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샤오야칭(肖亞慶) 국유자산관리위원회 주임은 같은날 열린 '중국기업 개혁발전 포럼'에서 "전략적인 유망 핵심기술을 확보하는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자주 혁신 강화가 국유기업 핵심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된다"고 역설했다.
jo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