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온 통일'…탈북학생 2천500명…10년새 3.7배로 증가

입력 2018-04-28 07:11  

'먼저 온 통일'…탈북학생 2천500명…10년새 3.7배로 증가
학교·사회 적응 '이중고'…학업중단율 2%로 일반학생보다 높아
우리말 서툰 제3국 출생 56.6%…5년새 21%P↑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교육분야에서도 남북교류 확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금강산 수학여행'이 다소 성급할지는 몰라도 허황한 꿈은 아니게 됐다.
남북학생이 만나 두 손을 맞잡는 꿈을 먼저 구현한 이들이 있다.
바로 '먼저 온 미래'로 불리는 탈북학생들이다.
하지만 탈북학생 상당수는 남한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28일 교육부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탈북학생은 2017년 4월 기준 2천538명이다. 10년 전인 2007년(687명)과 비교하면 3.7배로 늘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탈북학생이 1천27명(40.5%)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785명·30.9%)와 중학교(726명·28.6%)는 숫자가 비슷했다.
정규학교 말고 대안 교육시설에서 공부하는 탈북학생은 226명이었다.
탈북학생들은 북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들은 남한 입국 후 정부 합동조사기관 신문에서 북한이나 제3국에서 수학한 이력을 조사받고 이를 토대로 학력확인서를 발급받게 된다.
또 각 시·도 교육청에는 북한이탈주민 학력심의위원회가 구성돼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 소학교(인민학교) 졸업자는 남한 초등학교 졸업, 북한 초급중학교 3년 졸업은 남한 중학교 졸업, 북한 고급중학교 3년 졸업은 남한 고등학교 졸업으로 인정받는다.
다만 탈북학생 나이가 같은 학년 남한 학생 나이보다 많아야 한다.
예를 들어 북한에서 소학교를 졸업했더라도 남한 초등학교 졸업자(만13세)보다 나이가 어리면 초졸로 인정받지 못하고 나이에 맞는 학년으로 편·입학해야 한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력심의위원회에 학력심의를 요청하는 탈북학생들은 대체로 대학진학을 위해 고졸학력을 인정받으려는 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탈북학생들은 한국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말이나 문화 차이뿐 아니라 학부모로부터 적극적인 지원을 받기 어렵다는 점, 어려운 상황 속을 견디고 자녀를 남한에 데려온 학부모의 기대치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 등도 탈북학생의 학교적응 장애물로 꼽힌다.
지난해 탈북학생 학업중단율은 2.0%로 2007년 10.8%보다 크게 낮아졌지만 1% 아래인 전체 학생 학업중단율에 견줘 여전히 높았다. 학업중단율은 학업을 중간에 그만둔 학생 수를 전체 학생 수로 나눈 값이다.
탈북학생 학업중단율은 고등학교가 4.3%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 1.8%, 초등학교 1.0%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상승했다.
탈북학생을 가르쳐 본 서울 초등학교 교사 김모(37)씨는 "탈북학생들은 공부해야 할 시기에 제3국에 머물면서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해 기초학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면서 "대학에 진학할 때까지도 다른 학생들을 쫓아가지 못하는 학생들도 상당수"라고 말했다.
실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이 2012년 탈북대학생 930명을 조사한 결과 제적 등으로 중도탈락한 학생 비율이 10.2%로 일반 대학생(5.0%)에 비해 크게 높았다.
제3국 출생 탈북학생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탈북자 자녀로 북한이 아닌 제3국에서 태어난 학생들은 우리말을 잘하지 못해 학교적응이 더 어렵다.
중국 등 제3국 출생 탈북학생은 지난해 전체 탈북학생의 56.6%(1천437명)로 2012년(35.5%·708명)보다 크게 늘었다.
탈북학생들은 학교적응과 함께 '한국사회 적응'이라는 이중고를 겪는다.
스마트폰 사용 등 남한학생은 숨쉬 듯 자연스럽게 하는 일을 탈북학생들은 하나부터 열까지 새로 배워야 한다.
교육부는 작년부터 탈북학생용 초기정책 매뉴얼을 제작 중인데 여기에는 '은행거래를 하는 법', 공공·의료기관과 대중교통 이용법', '스마트폰·컴퓨터 사용법' 등이 담길 예정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이달 발간한 탈북학생 지도교사 매뉴얼에서 "탈북학생은 교육 공백 기간과 개인특성, 가정환경 등에 따라 학습수준과 적응양상이 천차만별"이라면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jylee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