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우리나라 공간정보의 밑바탕을 이루는 국가기본도의 제작방식이 전면 개편되고 자율차와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정보 연구개발도 강화된다.
국토교통부는 8일 국가공간정보위원회에서 향후 5년간의 국가공간정보정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8∼2022)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은 초연결성, 초지능화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공간정보가 미래 사회의 사이버 인프라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국가기본도의 제작방식이 개편된다.
현재는 도엽(전체지도를 구성하는 한 부분) 단위로 2년마다 정기 갱신하는 방식으로 국가기본도를 생산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객체 중심, 수시 갱신체계로 개편한다.
건물과 도로, 철도, 수계 등 객체 단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생산·제공할 예정이다.
건축행정시스템 등 관련 시스템 간 연계를 통해 수시 갱신 방식 위주의 관리체계로 전환해 변화된 정보를 민간에 신속히 제공할 방침이다.
자율주행차 도입을 위해 터널·빌딩숲 등 위성 신호의 수신이 취약한 지역에서도 시공간 끊김이 없는 위치기준 체계를 구축한다.
자율차와 드론 등 위치기반 신산업에 안정적인 고정밀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프라를 개선하고 서비스 대상을 확대하는 한편 기술개발도 지속 추진한다.
국토부는 자율차 상용화와 차세대 도로교통체계(C-ITS) 등 도로·교통 관리 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밀도로지도를 2020년까지 전국 주요 도로 5천500㎞ 구간에 구축하고, 도로변화의 신속한 탐지·갱신·공유를 위한 기술개발과 표준화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고정밀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독자적인 위성항법 시스템을 개발·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자 관계부처 간 협의도 확대할 예정이다.
민간의 수요가 높으나 개인정보 보호 등의 이유로 공개가 어려운 과세 등의 공간정보에 대해서는 개인정보의 비식별화 등을 통해 원칙적으로 개방하는 기조를 정착할 방침이다.
공간정보 클라우드 환경을 조성해 공간정보체계 관리의 효율성과 용이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플랫폼 기반의 오픈맵을 통해 국민이 변경 내용을 직접 갱신하는 국민 참여형 공간정보 갱신체계를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공간정보가 정보통신기술(ICT)과의 융복합을 통해 급격히 성장하는 점을 감안해 특성화고·전문대·대학원으로 이어지는 산업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도 확대한다.
bana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