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선언 후 순항하던 북미대화 흐름, 북미간 강경 기싸움에 급랭
트럼프 북미회담 취소 카드까지, 그러나 北 유화메시지 내며 상황관리
'정상간 소통' 강조한 문대통령, 김 위원장과 판문점서 전격 회동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깜짝 회담'을 한 것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순조로운 여정을 다져가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첫 정상회담을 했다. 12시간을 함께한 두 정상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결과물로 내놓았다.
두 정상은 판문점선언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비정상적인 정전상태를 종식, 올해 안에 종전선언을 하기로 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여정의 공식 출발이었다.
이 같은 원대한 플랜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북미 간 비핵화 해법 합의를 이끌 환경 조성이 가장 긴요했다. 그러는 사이, 그동안 일촉즉발의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던 북미도 '한반도 훈풍'을 타고 대화의 문을 열었다.
한국을 중간에 두고 미국과 북한은 북미정상회담의 필요성에 공감했고, 급기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5월 9일 북한을 찾아가 김 위원장과 만나서 '만족한 합의'에 이르렀다.
나아가 북한은 그간 억류해온 미국인 3명을 석방, 폼페이오 장관의 귀국길에 동행토록 했다.
이에 화답이라도 하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억류 미국인 3명이 귀국한 당일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의 북미정상회담'을 발표했다. 그야말로 일사천리로 북미회담이 성사된 것이다.
북한은 이틀 뒤인 12일 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 방식으로 폐쇄하겠다고 발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똑똑하고 정중한 몸짓"이라고 감사의 뜻을 표하면서 회담 분위기는 더욱 무르익었다.
하지만 이후 상황은 녹록지 않게 돌아갔다.
우선 북한은 지난 16~17일 일괄타결 비핵화의 대표적 사례인 '리비아 모델'을 비난하면서 북미정상회담 무산 가능성을 거론한 데 이어 맥스선더 한미 연합공중훈련을 문제 삼아 남북고위급회담을 전격 취소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도 침묵을 깨고 불편한 심기를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 면담에서 북한에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내놓으며 최후통첩성 경고를 던졌다.
'당근'은 회담장에 나와 비핵화에 합의하면 김정은 정권의 '안전'을 보장하고 북한을 부유하게 해주겠다는 것이었고, '채찍'은 회담을 거부할 경우 리비아를 초토화한 '리비아 모델'을 적용하겠다는 경고였다.
이런 가운데 지난 22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은 문 대통령의 중재로 북미 간 '냉기류'를 걷어낼 기회라고 여겨졌다.
실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간 실질적 비핵화 합의까지 긴밀히 공조하기로 하면서 청와대는 북미정상회담의 '순항'을 확신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위기는 심화됐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어떠한 양보도 하기 전에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의 '복귀 불가능 지점(no point of return)'에 도달하는 것을 봐야 한다"며 '선(先) 핵폐기-후(後) 보상'으로 해석되는 언급을 한 데 북한이 발끈했다.
급기야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담화를 내고 펜스 부통령을 향해 '횡설수설' '무지몽매한 소리' '정치적으로 아둔한 얼뜨기' 등의 원색적 비난과 함께 또다시 정상회담 재검토를 거론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공개서한을 보냈다. 서한에는 6·12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미정상회담이 열린 지 이틀 만이자, 북한이 약속대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를 진행한 지 약 3시간 만의 일이었다. 북미 정상 간 협상이 큰 난관을 만나는 순간이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전격적인 두 번째 정상회담은 이 같은 '먹구름'이 다소 걷힌 후에 이뤄졌다.
북한은 전날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의 담화를 통해 북미정상회담 취소와 관련, '미국에 시간과 기회를 줄 용의가 있다'는 내용을 담은 유화적 메시지를 보냈다. '위임에 따른 담화'라고 한 만큼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이 실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판 '벼랑끝 전술'과도 같은 강경한 대북 압박에서 한 발 뒤로 물러섰다. 북미정상회담이 예정대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하겠다고 밝힌 직후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가기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참모들을 통한 소통이 아닌 북미 정상 간 직접 소통을 강조한 것"이라면서 "'북미'라고 특정하지 않고 '정상'이라고 한 것은 남북 정상 간 소통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27일 오전 10시 청와대에서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hrse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