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295g까지 떨어져 생존한계 넘나들다 5개월 치료 끝에 3㎏으로 성장
전세계서도 '26번째' 초미숙아 생존사례…"저출산 속 새로운 희망"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유난히 추위가 지독했던 지난 1월 말. 서울아산병원 신관 6층 분만장에서 국내에서 가장 작은 아이가 태어났다. 출생 당시 체중 302g, 키 21.5㎝로 이름은 이사랑이었다. 이 아이가 생명의 기적을 만들어 낼 확률은 단 1% 미만.
손가락 하나, 발가락 하나를 잡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작은 사랑이는 생사의 고비에서도 엄마 아빠의 목소리에 대답이라도 하는 듯 끊임없이 팔과 다리를 내 저으며 기적의 시작을 알렸다.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팀(김기수·김애란·이병섭·정의석 교수)은 이처럼 초극소저체중미숙아(이하 초미숙아)로 태어난 사랑이가 5개월여(169일)의 신생아 집중치료를 견디고 12일 건강하게 퇴원했다고 밝혔다.
사랑이는 엄마의 뱃속에서 자란지 6개월 만에 태어났다. 당시 체중은 302g으로, 국내에 보고된 초미숙아 생존 사례 중 가장 작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병원 치료를 받고 생존한 초미숙아 중 가장 작은 사례는 380g이었다. 외국에서도 400g 이하 체중의 미숙아가 생존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초미숙아(400g 미만으로 태어나 생존한 미숙아) 등록 사이트에는 현재 201명의 미숙아들이 등록돼 있는데, 사랑이는 26번째 작은 아기로 등재될 예정이다.
사랑이 엄마는 인공수정으로 임신했다. 하지만 임신중독증이 생겨 임신 24주 5일 만인 지난 1월 25일 산부인과 원혜성 교수의 제왕절개로 사랑이를 출산했다.
사랑이는 보통 신생아보다 4개월이나 일찍 세상 밖으로 나왔지만, 다행히 심장수술이나 장수술 등 단 한 번의 수술도 받지 않고 모든 장기가 정상으로 성장했다.
일반적으로 몸무게가 1㎏ 미만으로 태어나는 미숙아들은 호흡기계, 신경계, 위장관계, 면역계 등 신체 모든 장기가 미성숙한 상태다.
때문에 출생 직후부터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태변 장폐색증 및 괴사성 장염, 패혈증, 미숙아망막증 등의 미숙아 합병증을 앓는 경우가 많다. 또 재태기간과 출생 체중이 작을수록 이들 질환의 빈도와 중증도가 심해진다.
하지만 치료를 위해 아무리 작은 주삿바늘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그 길이가 아기의 팔뚝 길이와 비슷해 삽입 자체가 쉽지 않고, 단 몇 방울의 혈액만 뽑아도 바로 빈혈이 발생하기 때문에 채혈조차 쉽지 않다. 수술이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너무 작기 때문에 수술조차 할 수 없어 치료시기를 놓치기도 한다.
더욱이 투석기나 심폐보조기와 같은 의료 장비의 도움을 받을 수도 없다. 따라서 미숙아 치료는 의료진의 다양한 진료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사랑이의 경우 허파꽈리가 완전히 생성되기도 전인 24주 만에 태어나 출생 직후 소생술을 통해 겨우 심장이 뛸 수 있었다. 기관지 속으로 폐표면활성제를 투여받으며 겨우 숨을 몰아쉬는 정도였다.
태어난 지 일주일째에는 몸속에 머금었던 양수가 빠지면서 체중이 295g까지 떨어져 생존의 한계를 넘나들었다. 전 세계적으로도 300g 이하에서는 생존 사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의료진 모두가 긴장한 상태였다.
하지만 주치의 정의석 교수를 비롯한 서울아산병원 신생아팀은 그동안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쌓아 온 미숙아 치료의 경험과 노하우로 생존 확률이 1%도 채 되지 않는 사랑이의 생존을 위한 도전을 시작했다.
미숙아 괴사성 장염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모유수유라는 말에 사랑이 엄마는 단 하루도 거르지 않고 모유를 유축했으며, 출산 후 처음 한 달간은 몸이 불편한 엄마를 대신해 아빠가 매일 병원으로 모유를 가지고 와 사랑이를 응원했다.
그 결과, 사랑이는 미숙아 괴사성 장염이 발병하지 않을 수 있었고, 600g 정도까지 자랐을 무렵에는 인공호흡기를 떼고 적은 양의 산소만으로도 자발적인 호흡이 가능해졌다. 그처럼 수많은 위기 상황을 극복해내며 사랑이는 어느덧 3㎏으로 건강하게 성장했다.
사랑이 엄마 이인선(42)씨는 "사랑이는 남편의 생일에 운명처럼 찾아온 아이인 데다 오랜 기다림 끝에 얻게 된 첫 아이여서 가족 모두가 단 한 순간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면서 "사랑이의 아빠, 엄마가 돼 사랑이를 보살펴준 중환자실 의료진이 너무 고맙다"고 울먹였다.
현재 국내에서 한 해에 태어나는 1.5㎏ 미만 극소저체중미숙아 수는 3천여명에 달한다. 이는 20여 년 전 약 천 명에 불과하던 것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최근 3년(2014~2016년) 동안에는 163명의 500g 미만 초미숙아가 출생했으며, 생존율은 28%로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서울아산병원의 경우 최근 5년 동안 총 33명의 500g 미만 초미숙아들이 태어났고, 이들의 생존율은 52%에 이른다. 이는 최고의 미숙아 치료성적을 보이는 일본과 비슷한 수준이다.
정의석 교수는 "한 뼘도 되지 않는 사랑이를 처음 보았을 때 그 작은 아이가 가쁜 숨을 내쉬는 모습을 보니 그저 살리고 싶다는 생각만 들었다"며 "위기 상황 때마다 사랑이 스스로 극복해내는 것을 보면서 생명의 위대함을 느낄 수 있었다"고 떠올렸다.
이병섭 서울아산병원 신생아과 과장은 "최근 국내 출산율이 급감하고, 미숙아는 늘어나는 상황에서 초미숙아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