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문화재연구소, 내부서 나온 인골 분석 결과 발표
"남성 노인, 키 161∼170㎝, 620∼659년 사망 추정"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100년 만에 재발굴한 익산 쌍릉(사적 제87호) 대왕릉에 묻힌 주인공이 익산에 미륵사라는 거대한 사찰을 세운 백제 무왕(재위 600∼641)일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대왕릉과 소왕릉으로 구성된 익산 쌍릉은 설화 서동요(薯童謠) 주인공인 무왕과 그의 부인 선화공주가 각각 묻혔다고 알려진 백제시대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굴식돌방무덤).
그러나 2016년 국립전주박물관이 일제강점기 조사 당시 대왕릉에서 수습한 유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찾은 치아를 분석해 20∼40세 여성의 것이고, 무덤 내부에 신라계 토기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하면서 피장자 정체를 두고 논쟁이 가열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1917년 조선총독부 발굴 이후 한 세기 만에 재발굴이 결정됐고, 문화재청·익산시·마한백제문화연구소는 지난 4월 무덤방 가운데에 있는 관대(棺臺·관을 얹어놓는 넓은 받침) 위에서 인골이 담긴 상자를 찾았다고 발표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18일 "대왕릉 인골을 다양한 기법으로 조사한 결과, 60대 전후 남성 노인의 것으로 나타났다"며 "키는 161∼170.1㎝로 추정되고, 사망 시점은 620∼659년으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인골은 일제가 발굴한 뒤 꺼내 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상자에 있는 인골은 102개 조각으로, 겹치는 부분이 없어 모두 한 개체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무왕은 출생 시점에 관한 기록이 없으나 재위 기간이 41년에 이르고, 620∼659년에 세상을 떠난 유일한 백제 임금이라는 점에서 인골의 병리학 특징상 대왕릉 피장자를 무왕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소는 각기 다른 뼈를 통해 성별·키·연령·사망 시점을 추정했다. 인골조사에는 국립문화재연구소·가톨릭의대 응용해부연구소·라드피온·미국 베타연구소·퓨전테크놀로지가 참여했다.
연구소는 "팔꿈치 뼈 각도, 발목뼈 가운데 하나인 목말뼈 크기, 넙다리뼈 무릎 부위 너비를 봤을 때 성별은 남성일 확률이 높다"며 "161∼170.1㎝라는 예상 키는 넙다리뼈 최대 길이를 추정해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19세기 남성 평균 키가 161.1㎝인 점을 고려하면 비교적 큰 편"이라며 삼국사기에 무왕을 '풍채가 훌륭하고, 뜻이 호방하며, 기상이 걸출하다'고 묘사한 대목이 있다고 소개했다.
나이는 최소 50대이고, 60∼70대 노년층으로 생각해도 무리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소는 "목 울대뼈 갑상연골에 노화로 인해 굳어지는 골화(骨化)가 상당히 진행됐고, 골반뼈 결합면이 거칠고 작은 구멍이 많다"며 "남성 노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등과 허리가 굳는 증상과 다리·무릎 통증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옆구리 아래 골반뼈에 있는 1자 모양 흔적에 대해서는 "골절됐다가 3개월 정도 뒤에 치유된 것으로 보인다"며 "타격보다는 낙상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고, 직접적 사인(死因)은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사망 시점 620∼659년은 가속 질량분석기(AMS)로 정강뼈를 방사성탄소연대 측정한 결과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연구소는 "유전자 분석도 시도했으나 뼈가 심하게 부식돼 결과를 얻기 쉽지 않았다"면서도 "벼·보리·콩 섭취량이 많고, 어패류 같은 단백질 섭취 가능성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석실 석재와 목관, 인골 상자 재질 분석 결과도 공개했다. 석재는 무덤에서 약 9㎞ 떨어진 함열읍에서 채석한 것으로 추정되며, 목관은 무령왕릉과 동일한 일본 특산종 금송(金松)으로 드러났다. 유골함 원료는 잣나무류 판자다.
한편 발굴조사단인 마한백제연구소 관계자는 "대왕릉을 보완 조사하고, 대왕릉에서 북쪽으로 180m 떨어진 소왕릉을 발굴해 쌍릉 성격과 무덤 주인공을 더욱 명확히 밝혀낼 것"이라며 "백제 후기 왕릉급 고분에 대한 중장기 연구도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