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폭염으로 낙동강 녹조가 심화하고 있지만 부산을 관통하는 낙동강 하류 지역은 조류경보제나 수질예보제 대상 지역에서 제외돼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부산시에 따르면 낙동강 하류 지역에는 녹조가 급속히 확산하면서 지난달 31일 기준 남조류 개체 수가 물금 취수장 주변 7천686 cell/㎖, 매리 취수장 주변 8천856 cell/㎖가 나왔다.
친수 공간인 북구 화명생태공원 주변은 5만 cell/㎖, 사상구 삼락생태공원은 13만 cell/㎖의 남조류가 관찰됐다.
현재 낙동강 변에는 맨눈으로 보기에도 초록 물감을 푼 듯 녹조가 일부 띠를 이뤄 떠다니는 모습이 관찰돼 경각심을 주고 있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도 낙동강 하구는 조류경보나 수질예보제 대상 지역에서 제외돼 있다는 점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조류경보제는 전국 하천과 호수 28개 지점에서, 수질예보제는 17개 지점에서 이뤄진다.
녹조가 발생하면 유해 남조류 개체 수를 측정해 각각 시스템에서 정해진 단계에 따라 경보를 발령하고 관할기관에 통보하는 시스템이다.
경보가 발령되면 낚시, 수영 등 친수 활동이나 어패류 어획, 식용 자제 권고가 내려지고 조류제거제 살포 등 조치가 이뤄진다.
환경단체의 한 관계자는 "낙동강 하류에서도 수상스키 등 친수 활동이 이뤄지고 있고 무엇보다도 340만 부산시민이 먹는 물을 취수하고 있어 경보제 대상에 포함해 관리하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부산에 조류경보제가 없는 데는 지자체의 의지 부족도 한몫했다.
환경부는 "광역 취수장의 경우 대부분 수질 경보제가 이뤄지고 있는데, 매년 관리기관의 신청을 받을 때마다 부산시에서 의견을 낸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부산시는 현재 낙동강 하구가 조류 경보제 대상 구간은 아니지만, 해당 기준에 준해 녹조를 관리하고 있어 크게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부산시는 "녹조 발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해 대응하고 있고, 취수장 주변 녹조나 물 정수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 "조류경보제와 관련해서는 의견을 수렴한 뒤 신청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올해 연말까지 조류경보제와 수질예보제로 이원화된 녹조 관리 시스템을 일원화하는 것을 목표로 공청회를 여는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read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