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키그 DPAA 국장, 베트남 사례 들어 "관계정상화·번영의 가교"
(워싱턴=연합뉴스) 송수경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전 참전 미군 유해송환에 대한 띄우기를 이어가고 있다.
백악관은 14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켈리 맥키그 국장, 감식소장인 존 버드 박사 등 DPAA 관계자들의 브리핑 순서를 마련했다. 지난 1일 하와이에 도착한 55구의 유해송환 작업의 의미와 전망 등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주에는 이번 유해송환 과정에서 북측으로부터 전해 받은 '군번줄'을 유가족에게 전달하는 행사를 공개적으로 갖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러한 여론전은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이렇다 할 진전을 보지 못하면서 미국 조야에서 회의론이 제기되는 가운데 북한의 '성의있는' 조치가 진행됨을 부각함으로써 대화 국면의 동력을 살려가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지난 1일 하와이에서의 유해 봉환식을 거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전 당시 남겨진 8천 가까운 이들을 다시 집으로 데려와 60여 년간 그들을 기다린 가족이 마침표의 순간을 맞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고 검증하는 것은 도전적이지만 이 정부가 열의를 쏟고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맥키그 국장은 유해송환에 대해 "여전히 신원 규명을 기다리는 7천700명의 가족을 위한 책무를 이행하는 첫걸음으로, 의심할 여지 없이 희망의 씨앗을 제공했다"며 이번에 송환된 55구의 유해는 몇 주 내에 하와이 감식팀과 델라웨어주 도버 공군기지에 있는 '미군 유전자 감식 실험실을 통해 본격적인 유전자 감식에 들어가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 과학자들의 패기와 연구소의 역량이 도전에 직면할 수 있지만, 앞으로 수개월, 수년간에 걸쳐 신원을 규명해 그 가족들에게 오랫동안 기다려온 답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송환된 유해들이 미국인이라는 것을 확신하느냐는 질문에 "큰 확신 감을 갖고 있다"며 과거 90년대 초에 북한이 5년간 독자 발굴해 송환한 208개 상자, 유해 400구 가운데 미국인 유해가 200구로 판명된 일을 거론, "그로부터 수년간 우리 연구소는 유해들을 판별해내는 DNA 및 법의학 기술과 능력을 갖추게 됐다"고 자신했다.
맥키그 국장은 유해 발굴작업에 대해 "북미 합동 발굴작업을 재개하기 위한 다음 조치들을 탐색하고 있다"며 "발굴작업 시 우리의 현지 인력에 대한 안전 문제는 우리의 책무로, 우리가 북측에 바라는 것은 의사소통 문제와 인력이 다칠 경우 헬기 수송 등 의료 후송 요건이 충족돼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과거 10년간 그랬듯이 협조적 방식으로 발굴작업이 이뤄지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유해 발굴에 대한 결정이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일정 부분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러나 이 문제는 인도주의적 노력으로서 별개이다. 다른 것들과는 분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임무는 인도적이다. 베트남과 같은 과거의 적국들이 실종자와 전쟁포로 관련 협력을 관계 정상화 및 오늘날 번영하게 된 양자 관계를 위한 가교로 활용한 이유"라며 베트남 사례에서 보듯 유해 발굴·송환이 북미 간 관계 정상화의 첫 단추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DPAA 감식소장인 버드 박사는 이번에 송환된 유해의 보존 상태가 각기 다르지만, '단서'가 희미한 가운데서도 신원을 규명하는 게 연구소의 일인만큼 신원 규명이 잘 돼나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다만 그 역시 "앞으로 수년간"이라며 장기화를 점쳤다.
그는 1996년∼2005년 북한에서 진행된 유해 발굴작업에 참여한 경험을 언급하며 이번에 55구를 건네받기 위해 북한으로 들어갔을 당시 "과거보다 더 우호적이고 따뜻하게 맞아주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hanks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