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중동의 스타트업 허브로 성장한 아랍에미리트(UAE)보다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규제 등 여러 면에서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9일 발표한 '신생 스타트업 허브로 부상하는 UAE의 비결과 시사점'에 따르면 2011년부터 혁신창업에 집중한 UAE는 '2018년 국가경쟁력 평가' 벤처캐피탈 부문에서 이스라엘, 독일 등 창업 선진국을 제치고 세계 5위를 기록했다.
2014년 4천50만달러를 기록한 스타트업 투자액은 올해 10억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UAE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신흥 스타트업 허브로 부상할 수 있었던 이유로 중동 및 북아프리카 시장 진출 거점, 규제프리·면세 등 기업 친화 정책, 첨단 창업 인프라, 풍부한 국부펀드와 외국자본 등 우호적인 투자환경을 꼽았다.
반면 우리나라는 동북아 물류 허브로서의 지리적 이점과 우수한 정보통신기술 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친기업 환경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최근 1년 누적 투자액이 가장 많은 글로벌 상위 100개 업체의 사업 모델을 한국 시장에 적용할 경우 70% 이상이 규제에 가로막혀 한국에서 사업할 수 없거나 사업 조건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의 장현숙 연구위원은 "우리 정부는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지만, 기업이 체감하는 규제 일변도 이미지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대규모의 국제 네트워킹 기회도 부족하다.
2017년 아시아에서 개최된 스타트업 행사 411건 중 한국에서 열린 것은 9건에 불과했다.
정부 자금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도 약점이다.
한국의 벤처캐피탈 투자액은 2015년 2조원을 돌파했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벤처투자 비중이 0.13%로 미국(0.36%), 영국(0.21%), 중국(0.24%), 인도(0.39%)보다 낮다.
국내 벤처기업의 신규자금 조달방법 중 정부 정책자금이 84.9%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국내 혁신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규제를 면제하는 규제프리와 같은 파격적인 규제 해소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창업기업의 자유구역 입주, 창업기업의 정부 조달사업 참여기회 확대,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력 확대 등 네트워크 형성, 정책자금 의존도 축소와 민간투자 활성화 등도 제시했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