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가고 싶은 섬' 사업 주도…"살고 싶은 섬 만들고 싶어"
(무안=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은 천혜의 다도해를 품은 전남도의 대표 시책 중 하나다.
2015년 여수 낭도 등 6개 섬을 시작으로 매년 2개 섬을 추가 선정한다.
전남도는 사업이 추진 중인 12개 섬을 포함해 2024년까지 모두 24개 섬을 가꾸기로 했다.
이 사업이 전남도 '브랜드' 시책의 지위에 오르기까지는 추진을 주도한 '섬 디자이너'가 있었다.
윤미숙(56·여) 전남도 섬 가꾸기 전문위원은 대상지 선정·실행·사후 관리 등 사업 전 과정을 이끌고 있다.
마을 사람들과의 소통은 물론 풀 뽑고, 꽃 심는 일까지 그의 몫이다.
윤 전문위원은 달동네에서 벽화마을로 변신한 동피랑 마을, 연대도 '에코 아일랜드' 등 경남 통영의 변화를 일군 마을 활동가였다.
전남의 섬들과 인연을 맺은 건 2015년 4월 공모를 통해 전남도 섬 전문위원으로 임용되면서다.
이낙연 전남지사가 재임하던 당시 전남도는 가고 싶은 섬 사업을 브랜드 시책으로 정하고 6개 섬을 대상지로 선정한 상태였다.
윤 전문위원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12개 섬 구석구석을 누비고 있다.
50가구 100여명이 사는 고흥 연홍도는 미술인들이 폐교에서 작품 활동을 하는데 착안해 조각·미술품을 곳곳에 설치,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바뀌었다.
윤 전문위원은 "(사업 대상지인)신안 기점·소악도에 갔더니 갯벌뿐이어서 이런 섬을 어떻게 가꿀지 막막했다"며 "마을 주민과 소통한 결과 대부분이 교인이어서 순례길을 만들고 작은 예배당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했다"고 소개했다.
이처럼 섬마다 간직한 고유의 생활 문화, 풍경, 전통이 그에게는 섬 디자인의 콘셉트를 정하는 소재가 된다.
개발은 없는 것을 억지로 만들어내는 게 아니라 기존 자원에 가치를 부여하고 극대화하는 데서 시작한다고 그는 강조한다.
윤 전문위원의 제안이 실현되기까지는 물론 마을 주민의 동의가 필수적이다.
섬 가꾸기 사업의 주요 목적도 주민 생활 개선이다.
윤 전문위원은 주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가도록 마을 기업 운영 등을 교육하는 '주민 대학'의 '학장' 역할도 자처했다.
그는 "육지와 단절된 채 보존한 섬의 문화·생태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먹고 살기 어려운 섬 주민이 행복해지도록 하는 게 궁극적인 목표"라며 "가고 싶은 섬뿐 아니라 살고 싶은 섬을 만들고 싶다"고 힘줘 말했다.
sangwon7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