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수막새·괘불도 등 6건 보물지정 예고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 = '신라의 미소'로 유명한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가 보물이 된다.
기와가 단독으로 보물로 지정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것이 문화재청 설명이다.
문화재청은 2일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군위 법주사 괘불도,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경선사'명 청동북, 장철 정사공신녹권을 보물로 지정예고했다.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된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는 일제강점기 경주 영묘사 터(사적 제15호 흥륜사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막새는 추녀나 담장 끝에 기와를 마무리하기 위해 사용된 둥근 형태의 와당이다.
1934년 일본인 의사 다나카 도시노부(田中敏信)가 경주의 한 골동상점에서 이 수막새를 사들이면서 일본으로 넘어갔으나, 박일훈 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의 끈질긴 노력으로 1972년 10월 돌아왔다.
이 수막새는 틀로 찍지 않고 손으로 빚었다. 왼쪽 하단 일부가 사라졌으나, 선한 눈 아래 살짝 머금은 미소가 아름답다.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유일하게 알려진 삼국 시대 얼굴무늬 수막새이자 높은 예술적 경지를 보여주는 이 작품은 신라의 우수한 와당 기술이 집약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 정밀조사를 통해 새롭게 가치가 알려진 괘불도 3건도 보물지정 예고 대상에 포함됐다. 괘불도는 영산재, 천도재 등 대규모 야외 불교의식을 위해 제작한 대형 불화다.
1714년(숙종 40년) 화승 9명이 그린 군위 법주사 괘불도는 높이 10m의 비단 16폭에 연꽃을 든 입상의 여래를 중앙에 그려 넣었다.
1750년 제작된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에 배치한 오존(五尊) 형식을 취하고 있다. 19세기 이전 조성된 비로자나불 불화는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오존 구도 또한 예외적이라는 점이 평가받는다.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는 영산재에 사용된 불화로, 1788년(정조 12년) 총 22명의 화승이 참여해 완성한 것이다.
사찰 의례 때 사용된 '경선사'명 청동북(삼성문화재단)은 13세기 청동북 중 기년명이 있는 보기 드문 사례이자 독특한 제작기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제1차 왕자의 난(1398년) 평정에 공을 세운 중추원부사 장철에게 발급된 장철 정사공신녹권(천안박물관)도 지금까지 유일하게 확인된 조선 초기 정사공신녹권이자 역사적·국어학적·서지학적 가치가 높게 평가받는다.
문화재청은 30일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들 6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계획이다.
air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