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투자자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 재설정' 고심
(서울=연합뉴스) 김현재 기자 = 실종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의 피살 의혹과 관련해 국제적 진상규명 압박을 받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하지만 실리콘밸리는 다른 시각에서 이번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사우디 왕실은 미국 스타트업을 위한 최대 단일 투자가이기 때문이다.
17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2016년 중반 이후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가 미국 스타트업에 쏟아 부은 돈은 최소 110억 달러(13조 원)에 달한다. 여기에는 자신의 직접 투자와 손정의 회장의 소프트뱅크 그룹이 주도하는 920억 달러의 '비전펀드'를 통한 간접투자가 포함돼 있다. 사우디 왕실은 이 펀드에 450억 달러를 약정했다.
차량공유업체 우버와 사무실 공유업체 위워크, 증강현실 기기업체인 매직리프 등이 모두 사우디 왕실의 자금을 지원받았다.
비전펀드는 지금까지 20건 이상의 거래를 통해 총 170억 달러를 투자했고, 이와 별도로 사우디 공공투자기금(PIF)은 우버, 매직리프, 전기자동차 제조사 루시드 모터스 등에 49억 달러를 추가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런 투자액은 전 세계 어떤 단일 벤처캐피털 회사도 따라갈 수 없는 규모다.
특히 지난해 신규 투자 유치 과정에서 비전펀드와 PIF 주도로 77억 달러를 유치한 우버는 11%의 지분이 사우디 당국 소유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PIF 책임자인 야시르 알 루마이얀은 우버 이사회 멤버로 공식참여하고 있다.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성명을 통해 "자말 카슈끄지에 대한 보도를 보고 심적인 고통을 겪었다"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후원하는 비즈니스 콘퍼런스에 불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었다.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 그룹의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 책임자인 다이앤 그린도 콘퍼런스에 불참할 것이라고 했고, 로버트 톰슨 뉴스코프 회장도 참석을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벤카 가네슨 전 벤처캐피털협회 회장은 "실리콘밸리가 역사의 어느 편에 서야 할지를 결정해야 할 중요한 사건들이 있다"면서 "만일 사우디 당국의 언론인 피살 의혹이 사실이라면 이것은 그런 사건들 가운데 하나"라고 했다.
그는 "스타트업이나 투자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인권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WSJ는 "엄청난 규모의 사우디 자금은 전례가 없는 것이며, 일부 창업자에게는 저항할 수 없는 것"이라면서 "게이를 처벌하고 최근까지도 여성 운전을 금지한 이 나라로부터 투자를 받는 것에 대해 이상주의를 내세워온 실리콘밸리 지도자들의 위선이라는 지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사우디 당국도 카슈끄지 실종 피살 의혹과 관련한 서방의 압박을 기업 보복으로 맞서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했다.
사우디 당국은 영국 버진그룹 창업자 리처드 브랜슨 회장이 참여하고 있는 차세대 초고속 운송시스템 '버진 하이퍼루프 원' 사업과 관련된 투자를 취소한다고 16일 밝혔다.
당초 브랜슨 회장은 오는 23일 사우디 리야드에서 개막하는 국제 경제회의 '미래 투자 이니셔티브'(FII)에 참석해 사우디 측과 이 사업의 타당성 검토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었다.
FT는 "이는 서방의 압박에 대한 사우디 당국의 첫 공식 보복 조치"라고 전했다.
kn020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