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 발굴…성벽 규모·축조방식도 확인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러시아 연해주 남서부 발해성 내 저장고 유적에서 세발 달린 토기인 삼족기(三足器)가 발견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와 함께 지난 8∼9월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을 발굴조사한 결과, 흑회색 작은 항아리에 원통형 다리를 부착한 삼족기 조각을 찾아냈다고 25일 밝혔다.
삼족기는 발해 유적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유물로, 수도 상경성에서 완형 두 점이 출토된 바 있다. 그중 한 점은 세 가지 이상의 연유(燃油)를 바른 삼채(三彩)다.
연구소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조사를 진행한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은 블라디보스토크 북쪽 우수리스크 인근에 있으며, 함경도 선봉에서 약 150㎞ 떨어졌다.
이곳은 발해 지방행정 구역 15부 중 솔빈부(率濱府) 영역으로, 발해가 동해안으로 진출하는 통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에 솔빈강으로 불린 라즈돌나야 강이 성 서쪽·북쪽·동쪽을 감싸며 흐르면서 자연 해자 역할을 한다.
성은 150m 길이 남벽과 30m에 이르는 서벽이 남았으나, 강물로 인해 일부가 훼손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발굴조사는 남벽과 성 서편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삼족기가 나온 저장고 유적은 구덩이를 파고 돌을 쌓아 벽을 만든 형태다. 내부에서는 원통형 기대(器臺) 같은 발해 토기와 철제 손칼을 비롯해 동물 뼈, 물고기 뼈와 비늘이 출토됐다.
작년에 흙을 켜켜이 다져 올리는 판축(版築) 기법이 성벽 축조에 사용됐다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소는 올해 성벽의 전반적 규모와 자세한 축조 방식을 파악했다.
연구소는 성벽에 대해 강자갈과 점토로 기초를 다진 뒤 폭 4m, 높이 2m인 사다리꼴 모양 중심부를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중심부는 점토와 모래를 번갈아 가며 20겹가량 쌓아 올렸고, 나무 봉으로 점토를 다진 흔적도 나타났다. 이어 성벽이 유실되지 않도록 중심부를 흙으로 덧쌓고 강돌로 위를 덮었다. 성벽 기저부 전체 폭은 14m로 조사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발해는 영토가 북한, 중국, 러시아에 흩어져 직접 조사가 쉽지 않은 상황으로, 2006년 이후 콕샤로프카 유적과 시넬니코보-1 산성에 이어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을 조사했다"며 "출토 유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진행하는 한편, 내년에도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