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 10.5%·생활물가 2.4%↑…석유류 5개월째 10%대 상승
정부 "물가안정목표 수준 유지 중…농산물 등 생활물가관리 노력"
(세종=연합뉴스) 이세원 민경락 이대희 기자 = 소비자물가지수가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곡물·채소 등 농산물과 석유 제품 등 일상과 밀접한 품목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져 가계 부담을 키우는 양상이다.
전체 소비자물가는 오르는 추세지만,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해 수요 측면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반대로 하강하는 모습이다.
정부는 전체 물가가 물가안정목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지만, 국제유가 변동성이 우려되는 만큼 생활물가 관리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통계청이 1일 공개한 '2018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42(2015년=100)로 작년 10월보다 2.0% 상승했다.
이는 작년 9월 2.1% 이후 13개월 사이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0월∼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1%대를 유지하다 13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이에 대해 "석유류, 곡물, 농축산물의 가격 상승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산물이 14.1% 상승해 전체 물가를 0.63%포인트 끌어올렸다.
채소류 물가는 13.7% 상승했다. 작년 8월 22.5% 오른 후 1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것이다.
쌀(24.3%), 토마토(45.5%), 파(41.7%), 무(35.0%) 고춧가루(18.8%)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석유류는 11.8% 올라 전체 물가를 0.53% 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다.
석유류는 올해 6월부터 5개월째 10%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휘발유는 10.8%, 경유는 13.5%,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는 11.0%, 등유는 15.9%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유가 정보 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1일 현재 휘발유 ℓ(리터)당 전국 평균가격은 1천690.17원, 최고가는 2천328원, 최저가는 1천577원이다.
경유는 ℓ당 평균 1천494.99원, 최고 2천204원, 최저 1천377원이다.
정부는 유가 상승에 따른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달 6일부터 휘발유·경유·액화석유가스(LPG) 부탄에 부과되는 유류세를 6개월간 약 15%내린다. 이 경우 휘발유는 ℓ당 최대 123원의 가격 인하 요인이 생긴다.
개인서비스요금은 2.2% 올라 전체 물가를 0.70%포인트 상승시켰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지수가 특히 큰 폭으로 올랐다.
체감물가를 보여주기 위해 자주 구입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10월보다 2.4% 상승해 작년 9월(2.9%) 이후 가장 큰 오름폭을 나타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10.5% 뛰어 작년 8월(18.3%)이래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물가상승률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1% 상승했다.
물가상승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0.9% 올랐다. 이는 2000년 2월(0.8%) 이후 가장 낮은 오름폭이다.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의 상승률은 6월 1.2%에서 7∼9월 1.0%를 기록했다가 10월 0%대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은 1.4∼1.5%대에서 2.0%대로 껑충 뛰었다.
그만큼 전체 물가지수와 근원물가지수 괴리가 추세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근원물가는 수요 측면에서 물가를 볼 수 있는 지표로, 이 지표가 내린다는 것은 소비 심리나 경기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체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소비자가 지갑을 열기 때문이 아니라 공급 가격이 오르며 물가가 오른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김윤성 과장은 "근원물가가 떨어지는 것은 집세나 공공서비스 하락에 따른 서비스 둔화의 영향"이라며 "근원물가를 수요 측면에서 참고로 보지만 근원물가가 낮다고 해서 수요나 소비가 좋지 않다고 표현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물가안정목표인 2%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변동성이 큰 농산물·석유류 제외 근원물가 상승률도 1% 초반에서 안정적인 흐름이 이어지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다만 최근 국제유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물가 오름폭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농산물 수급가격 안정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유류세 인하 효과도 조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생활물가 관리 노력을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안 좋은데 소비자물가 2% 큰 폭 상승…13개월새 최대폭/ 연합뉴스 (Yonhapnews)
sewon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