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10월까지 상승률 서울 6.0%, 지방 -0.8%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올해 들어 10월까지 서울의 집값 상승률이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지방은 14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1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10월 기준 서울 주택매매가격지수는 작년 말보다 6.0% 상승했다.
같은 기간(1∼10월) 상승률을 보면 2008년(11.8%) 이래 최고였다.
특히 올해 서울 아파트 값 상승률은 8.2%로 10년 전과 비슷하다.
[표] 서울 주택매매가격지수 1∼10월 상승률(%)
┌────────────┬────────────┬───────────┐
│유형별 │2008년 │2018년│
├────────────┼────────────┼───────────┤
│종합│11.8│6.0 │
├────────────┼────────────┼───────────┤
│아파트 │9.9 │8.2 │
├────────────┼────────────┼───────────┤
│단독주택│11.4│4.9 │
├────────────┼────────────┼───────────┤
│연립다세대 │15.1│2.6 │
└────────────┴────────────┴───────────┘
서울 집값을 월별로 보면 7월부터 상승폭이 확대돼 9월엔 전월보다 1.2% 올랐다. 9·13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며 주춤했지만 10월에도 상승률이 0.6%에 달했다.
주요 광역시 지역은 10월에 오히려 상승세가 강해졌다.
지난달 대구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전월 대비 0.5%로 9월(0.4%)보다 올라갔다. 2015년 11월 이래 가장 높았다.
대전은 0.6%로 9월(0.2%)보다 껑충 뛰었다. 7년 만에 최고였다.
인천(0%→0.2%)도 10월 상승률이 더 높았고 광주(0.7%→0.6%)는 비슷했다.
반면 올해 들어 지방 주택가격은 0.8% 내렸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는 2004년(-0.8%) 이래첫 하락이다.
전국 평균으로는 집값이 올해 들어 1% 올랐다. 작년 동기(1.2%)보다 상승률이 낮다.
주력산업 구조조정으로 경기가 좋지 않은 울산(-0.7%)과 경남(-0.4%)은 지난달에도 계속 하락했다.
최근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값 급등은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 됐다.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등 정부 당국자들이 '부동산발 금리인상 필요성'을 언급했다. 금융통화위원회 내부에서도 부동산 동향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 회의 의사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0.25%포인트 금리인상 의견을 내면서 "저금리 기조에서 확대된 레버리지가 부동산 부문에 계속 누적되며 수요압력을 견인하는 효과가 점진적으로 줄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로 인한 노후자금 부족을 단기간에 레버리지를 통한 투자로 만회하려는 유인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실물자산 확보와 가격상승에 따른 수익추구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역시 금리인상 의견을 낸 금통위원은 "지난 수년간의 저금리 기조는 부동산 관련 규제완화와 함께 가계부채 증가와 일부지역 부동산 가격 상승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금통위에서는 고승범·이일형 위원이 금리인상 의견을 밝혔다.
이런 가운데 한은은 9·13 부동산 대책 효과를 두고 "일부에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본다"고 전하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의사록을 보면 한은은 "대출규제는 강도가 높아서 수요 억제효과가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가격상승 기대심리가 사라져야 시장이 안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은은 "과거 부동산대책 이후 주택가격이 일시 안정을 보이다가 재차 상승하는 현상이 되풀이된 경우가 있어서 정책 효과 지속성에 관한 경제주체들의 인식이 바뀌지 않았다면 불안요인이 사라졌다고 단정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한은은 "과거 경험상 성장세가 이어지고 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주택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드물었다"고 덧붙였다.
다만, 금통위에서는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과 관련해 다른 해석도 있다.
한 위원은 "최근 일부 수도권 지역 아파트값 급등은 지역별, 형태별 주택가격 차별화 과정에서 촉발한 측면이 더욱 강한 것으로 보인다"며 "자산가격 급등락에 통화당국이 일일이 대응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입지 좋은 수도권의 새 아파트 등을 향한 수요가 늘어나는데 관련 공급이 부족한 것이 주 원인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부채급증을 동반한 전국적 자산가격 상승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이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가격조정이 금융 시장 및 거시경제에 작지 않은 충격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해야 한다"면서도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라고 시사했다.
[표] 지역별 주택가격매매지수 전월대비 상승률(%)
┌────────────┬────────────┬───────────┐
│지역│2018/09 │2018/10 │
├────────────┼────────────┼───────────┤
│전국│0.3 │0.2 │
├────────────┼────────────┼───────────┤
│수도권 │0.7 │0.4 │
├────────────┼────────────┼───────────┤
│지방│0.0 │0.0 │
├────────────┼────────────┼───────────┤
│서울│1.2 │0.6 │
├────────────┼────────────┼───────────┤
│경기│0.5 │0.4 │
├────────────┼────────────┼───────────┤
│인천│0.0 │0.2 │
├────────────┼────────────┼───────────┤
│부산│-0.1│-0.1 │
├────────────┼────────────┼───────────┤
│대구│0.4 │0.5 │
├────────────┼────────────┼───────────┤
│광주│0.7 │0.6 │
├────────────┼────────────┼───────────┤
│대전│0.2 │0.6 │
├────────────┼────────────┼───────────┤
│울산│-0.6│-0.7 │
├────────────┼────────────┼───────────┤
│세종│0.0 │0.2 │
├────────────┼────────────┼───────────┤
│강원│-0.1│-0.2 │
├────────────┼────────────┼───────────┤
│충북│-0.2│-0.3 │
├────────────┼────────────┼───────────┤
│충남│0.0 │-0.2 │
├────────────┼────────────┼───────────┤
│전북│0.1 │0.1 │
├────────────┼────────────┼───────────┤
│전남│0.2 │0.4 │
├────────────┼────────────┼───────────┤
│경북│-0.2│-0.1 │
├────────────┼────────────┼───────────┤
│경남│-0.5│-0.4 │
├────────────┼────────────┼───────────┤
│제주│0.2 │0.1 │
├────────────┼────────────┼───────────┤
│6대광역시 │0.1 │0.2 │
├────────────┼────────────┼───────────┤
│9개도 │0.1 │0.1 │
└────────────┴────────────┴───────────┘
mercie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