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정상회담 의지' 트럼프에 보폭 맞춘듯…협상 난항시 강경태세 복귀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백나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표적 '슈퍼 매파'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4일(현지시간) 모처럼 북한 문제에 입을 열었다.
북미협상이 답보를 계속하는 가운데 볼턴 보좌관이 평소의 대북 강경발언을 자제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2차 북미정상회담 의지를 재확인하며 '톤 조절'을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볼턴 보좌관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월스트리트저널(WSJ) 최고경영자(CEO) 카운슬' 행사에 참석, 문답을 통해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는 "그들(북한)은 지금까지 약속에 부응하지 않았다"며 "그것이 트럼프 대통령이 또 하나의 정상회담이 생산적일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볼턴 보좌관은 "북한이 자신들이 싱가포르에서 한 약속들을 완수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노벨 평화상을 탈만 하다"고 주장한 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북한)을 위해 문을 열어놨다. 이제 그들이 걸어들어와야 한다"며 "이것이 우리가 다음 (북미정상)회담에서 진전을 이루기를 희망하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볼턴 보좌관의 이런 발언은 1월이나 2월에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것 같다며 직접 북한에 대화 시그널을 보낸 트럼프 대통령과 보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에게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기를 1월이나 2월로 특정해 언급한 것은 물론 세 군데의 장소도 검토 중이라고 밝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다시 담판을 짓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직후인 3일엔 북미 간 판문점 채널이 가동된 것으로 파악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진의에 대한 북한 측의 탐색과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고위급회담 일정 등이 논의됐을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 이후에도 답보가 계속되던 북미협상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재차 활로 모색을 시도하는 셈이다.
이날 발언으로 볼 때 볼턴 보좌관 역시 대북 강경 태세를 일단 접고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한 보폭 맞추기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볼턴 보좌관은 지난달 13일 미국 싱크탱크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이른바 '삭간몰 보고서'로 파장이 일었을 때도 "우리는 북한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매우 잘 인식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가질 준비를 여전히 하고 있다"는 정도의 언급에 그쳤다.
지난 10월 22일 트럼프 행정부 고위당국자로서는 처음으로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내년 초 개최 가능성을 공개 확인한 것도 볼턴 보좌관이었다.
볼턴 보좌관은 최근 몇 달간 북한 문제는 주로 폼페이오 장관에게 맡기고 이란과 러시아, 중남미 등 지역의 외교안보 사안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또 다른 강경파인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지난달 15일 2차 북미정상회담 이전에 북한에 핵신고를 요구하지 않을 방침임을 시사한 것도 볼턴 보좌관의 행보와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성사 의지에도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난항이 계속되거나 2차 담판 테이블에서도 마땅한 결과물이 나오지 않을 경우 미 정치권 안팎의 회의론을 등에 업고 매파가 다시 강경한 목소리를 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에번 메데이로스 전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은 뉴욕타임스에 "김정은을 다시 만나는 것이 트럼프를 이용해 시간을 벌고 제재완화를 노리는 김정은의 전략을 승인해주기만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볼턴 보좌관은 1차 북미정상회담 전 '리비아식 모델' 거론을 서슴지 않으며 대북 압박의 선봉에 섰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도출한 후에도 얼마 지나지 않아 '1년 내 비핵화' 시간표를 제시하는 등 재차 대북 압박에 나서기도 했다.
na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