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상승' 구실 한목소리…성수기 기습 인상에 소비자 '싸늘'
(세종=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크리스마스와 각종 송년 행사가 몰린 연말을 맞아 치킨과 커피를 필두로 과자와 햄버거에 이르기까지 식품·외식 물가가 고삐 풀린 듯 오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인건비 상승과 우윳값 인상 등 원재료 가격 인상을 이유로 들지만, 수요가 늘어난 성수기를 맞은 연말 '기습 인상'에 소비자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 또한 사실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가격 인상 도미노'의 첫 신호탄은 우유업계가 쐈다.
업계 1위인 서울우유는 올해 8월 2013년 이후 5년 만에 흰 우유 1ℓ 제품의 가격을 3.6% 올렸다. 생산 비용 증가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남양우유가 10월 우유 제품 가격을 4.5% 인상했고, 1ℓ 제품의 용량은 900㎖로 줄여 사실상 10%나 가격을 올리는 효과를 냈다.
빙그레는 대표 제품 '바나나맛우유' 가격을 내년부터 소비자가 기준 100원 인상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우유는 커피전문점에서 원두에 이은 주요 원료로 쓰이는 데다가, 제과제빵 업계에서도 두루 쓰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은 식품업계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크다.
실제로 서울우유로부터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받아 파는 파리바게뜨는 지난달 우유 제품 가격을 10% 올렸다.
'국민 간식'으로 불리는 치킨은 이제 가장 기본 제품인 프라이드마저 2만원을 웃도는 시대에 돌입했다.
대형 치킨 프랜차이즈 BBQ는 지난달 19일 대표 제품 '황금올리브'를 비롯해 '써프라이드'와 '자메이카 통다리 구이'를 각각 1천∼2천원 올렸다.
이에 따라 '황금올리브'는 1만6천원에서 1만8천원으로 됐다.
그러나 올해 들어 불어닥친 치킨업계 '배달비' 열풍으로 상당수 지점에서 2천원 안팎의 배달비를 받는 점을 고려하면, 소비자가 '황금올리브'를 주문하려면 최소 2만원을 내야 하게 됐다.
치킨 브랜드에 따라 배달비가 많게는 3천원까지 책정돼 있어 올해 소비자가 체감하는 치킨값 인상은 실제 인상 폭을 훨씬 뛰어넘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치킨이나 피자를 시킬 때 딸려오는 업소용 코카콜라 제품이 이달부터 올랐다.
또 다른 '국민 간식'인 과자 제품 가격 또한 올 하반기 무더기로 올랐다.
농심은 대표 제품 '새우깡'을 비롯해 19개 제품의 출고 가격을 지난달 6.3% 인상했다.
출고 가격 기준으로 '새우깡'·'양파링'·'꿀꽈배기'·'자갈치'·'조청유과' 등은 6.1%, '프레첼'은 7.4% 각각 인상했다.
앞서 크라운해태는 5월 13개 제품 가격을 두 차례에 걸쳐 올렸고, 롯데제과는 4월 일부 제품의 가격을 인상했다.
농심은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 등 비용 상승으로 원가 압박이 누적돼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했다"며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최소 범위에서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들어서는 대형 커피전문점 브랜드가 잇따라 가격 인상 대열에 동참했다.
이디야커피는 이달 1일부터 70개 음료 가운데 14개 품목의 가격을 인상했고, 엔제리너스는 아메리카노 스몰 사이즈를 4천100원에서 4천300원으로 올리는 등 17개 품목을 평균 2.7% 인상했다.
매장 수로 업계 1위인 롯데리아 역시 올해 8월 소프트콘 가격을 40% 올린 데 이어 13일부터 버거류 11개 제품 가격을 평균 2.2%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이들 업체가 잇따라 가격을 올리는 것을 두고 외식 소비가 늘어나는 연말을 겨냥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다.
한 축산업계 관계자는 "연말 시즌은 복날과 가정의 달에 이은 '3대 성수기'"라며 "치킨 가격을 올리면 프랜차이즈 본사는 수익이 늘어나겠지만, 양계 농가는 가격 인상 여파로 소비가 줄어들지는 않을까 오히려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