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남북한 경제협력이 본격적으로 재개된다면 저임금에 의존하는 현재의 개성공단 모델을 뛰어넘어 다양한 생산요소와 환경이 결합하는 새로운 사업 형태로 발전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재호 중소기업연구원 동북아경제연구센터장은 23일 중소기업중앙회와 박정 국회의원실이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대회의실에서 '중소기업형 남북 비즈니스 모델'을 주제로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소기업형 남북비즈니스 모델은 중소기업의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남북경협 참가를 지원하고자 설계된 것으로 투자금, 인력, 경험 등 기업의 경영환경에 맞는 북한 진출 방식과 지역을 고려한다.
이재호 센터장은 "중소기업은 정부의 지원보다는 기업 자체의 독자적인 판단과 준비를 통해 남북경협 사업을 진행해왔기 때문에 다양한 한계가 발생했다"며 "남북경협이 다시 시작된다면 노동집약적인 형태를 넘어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어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남북경협 고도화를 위한 전략적인 틀 안에서 추진돼야 한다"면서 남북경협의 패러다임 전환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평화경제권'이라는 개념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동해와 서해, 휴전선을 연결하는 남북 경제벨트를 형성하고 일회성 사업이아니라 한반도에 경제발전 토대를 구축하는 '한반도 경제벨트'를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북한 내 생산토대 구축에 집중하는 경협을 지향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이어 주제발표에 나선 안궈산 중국 옌볜대 교수는 "북한은 '선쾌후만(先快後慢) 선이후난(先易後難)' 즉 경제회복이 빠른 것부터 시작하고 늦은 것은 뒤로 하며, 쉬운 것부터 먼저 시작하고 어려운 것은 뒤로 하는 전략을 선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안 교수는 "북한은 해외 경제협력에 있어서 동쪽의 원산·금강산, 서쪽의 신의주, 남쪽의 개성, 북쪽의 나진·선봉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며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 다자 협력이 예상되므로 남한은 입지를 정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