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환경단체가 런던 한국대사관 앞에서 외친 구호는

입력 2019-01-25 01:17  

英 환경단체가 런던 한국대사관 앞에서 외친 구호는
"기후변화 협정 위반 韓 석탄발전소 건설·금융제공 중단해야"



(런던=연합뉴스) 박대한 특파원 = 체감온도가 영하로 떨어진 24일(현지시간) 오전 출근시간의 런던. 웨스트민스터 의사당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자리 잡은 주영 한국대사관 앞에 외국인 열댓 명 가량이 모여있었다.
추운 날씨에 털모자와 장갑 등으로 중무장한 이들은 손에 피켓을 들고 한국대사관을 향해 구호를 외치고 있었다.
피켓에는 뚜렷한 한글로 "문재인 대통령은 석탄발전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라!", "삼척화력 그만", "한국은 석탄금융 중단하라" 등의 내용이 적혀있었다.
이들은 한국어로 "안녕 석탄발전"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대사관을 향해 야유를 퍼붓기도 했다.
이례적으로 한국대사관 앞에서 시위에 나선 이들은 영국의 환경단체 소속 활동가들.
'글로벌 위트니스'(Global Witness), '포실 프리 런던'(Fossil Free London) 등 영국 환경단체는 이날 한국의 석탄발전소 건설 및 해외 석탄발전소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지원에 항의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 환경운동가들은 석탄은 최악의 화석연료로, 기후는 물론 사람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해를 미친다고 지적했다.
왜 한국대사관일까.
이번 집회를 주도한 '글로벌 위트니스'의 애덤 맥기본은 "한국은 세계 10대 온실가스 배출국 중 하나이자 전 세계 석탄발전에 공공금융을 제공하는 '톱 3' 국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맥기본은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아직도 국내에서 석탄발전소를 짓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으로는 최근 10년간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공공기관을 통해 베트남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 170억 달러(약 19조2천억원) 규모의 석탄금융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파리 기후변화 협정 위반이자 석탄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약속에도 어긋난다는 것이다.
공공기관을 통한 석탄금융 제공은 결국 한국 납세자의 돈이 석탄발전에 활용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납세자들조차 원하지 않는 일이라고 맥기본은 지적했다.
그는 "일본 역시 석탄금융을 제공하고 있지만 주로 민간 금융기관에서 이뤄지는 반면 한국은 공공 금융기관이 동원된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를 막을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위트니스'는 현재 서울 소재 환경단체인 '기후솔루션'과 업무 공조를 통해 한국의 석탄발전 중단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이는 석탄발전으로 인한 대기오염이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경을 넘나드는 문제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한국뿐만 아니라 석탄발전소를 짓거나 투자하는 다른 국가나 기관에 대한 항의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맥기본은 석탄발전과 함께 원자력발전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
그는 "풍력 등 재생에너지 가격이 점점 더 하락하면서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한국 공공금융기관 역시 글로벌 트렌드에 반하는 석탄금융 대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dhis9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