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차세대 소형위성 1호에 실어 발사…"별 탄생 나선구조 명확히 보여줘"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근적외선 우주망원경의 초기 영상들이 공개됐다.
천문연구원은 광시야로 적외선 분광과 영상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우주망원경 NISS를 개발, 지난해 12월 차세대 소형위성 1호에 실어 발사했다.
14일 공개된 삼각형 은하 영상을 보면 단파장 1.0㎛ 영역에서 더 젊은 별들이 탄생해 중앙 지역이 더 밝게 보인다.
장파장 1.7㎛ 영역에서는 별 탄생이 일어나는 나선구조가 명확히 나타난다.
별 탄생이 활발한 오리온성운 영상도 장파장 영역에서 성운 구조가 명확하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천문연은 현재 NISS 분광 장비 테스트와 시험 영상 촬영 등 초기 성능 검증을 진행 중이다.
초기 운영 이후에는 주요 관측 임무인 가까운 은하와 우리 은하 내에서의 별 탄생 연구,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연구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천문연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중형 우주망원경 개발 프로젝트의 국제협력 파트너로 선정됐다.
천문연은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과 함께 NISS 개념을 확장한 전천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 우주망원경 SPHEREx를 NASA 차기 중형 프로젝트로 제안, 14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
이 프로젝트의 국제협력 파트너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SPHEREx는 전 우주에 대해 영상과 분광 관측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약 14억개 천체의 개별적인 분광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거대 우주구조, 적외선 우주배경복사의 기원, 생명의 기원이 되는 우리 은하 안의 얼음분자 탐사와 같은 주요 과학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기본적인 분광 정보를 확인한 특이 천체들은 우리나라가 개발에 참여한 거대 마젤란망원경(GMT)과 운영에 참여 중인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및 서브밀리파 간섭계(ALMA)를 활용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형목 천문연 원장은 "10년 이상 관련 연구를 꾸준히 추진해온 노력의 산물"이라며 "우리나라의 우주망원경 개발 능력이 매우 높은 수준에 올라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cobr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