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세포 환경과 동일한 칩 제작해 항암제 조합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5년 이내 생존율이 2%에 불과한 난치성 뇌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공동 연구팀은 3D 세포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암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3D 세포 프린팅은 살아 있는 세포 자체를 프린팅용 바이오잉크로 사용해 원하는 위치에 세포를 정확하게 출력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항암 치료로 증세가 호전된 환자와 암이 악화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각각 암세포를 분리했다. 이후 3D 세포 프린팅으로 뇌암의 가장 흔한 형태인 교모세포종의 환경을 칩 형태로 동일하게 구현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제작된 칩을 통해 환자 맞춤형 항암제 조합을 찾고 암세포 생존율을 확인했다.
그 결과 교모세포종 칩에 기존의 단일 약물을 사용하는 표준치료법을 시험한 칩은 약 54%의 암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반면 최적 약물 조합을 시험한 칩은 암세포 생존율이 23%까지 떨어졌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3D 프린팅으로 복잡한 교모세포종 특징을 모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며 "앞으로 다양한 암 칩 개발에 기술을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최신호에 게재됐다.
aer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