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박기덕 박사 "기존 약물 실패 원인 규명…신규 치료기전 약물 개발"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초기에만 인지기능 개선 효능을 보이는 기존 치매 치료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기간 치료효과를 유지하는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 동물실험을 마치고 임상시험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4일 치매DTC융합연구단 박기덕 박사팀이 반응성교세포연구단 이창준 박사(현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공동단장)팀과 함께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뇌에서 과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의 양을 지속해서 줄일 수 있는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모델 쥐 실험을 통해 이 신약후보 물질이 약효가 1주일밖에 지속하지 않는 기존 치료물질 셀레길린(selegiline)과 달리 4주간 지속해서 GABA양을 줄여 치매 환자의 기억력 저하 및 인지 장애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GABA는 포유류 중추신경계에서 생성되는 억제성 신호전달물질로 치매 환자 뇌의 반응성 성상교세포(reactive astrocytes)에서 마오비(MAO-B) 효소에 의해 과생성돼 기억력 저하나 인지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마오비 효소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GABA 과생성을 막아 치매를 치료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으나 셀레길린 같은 약물은 임상시험에서 1주일까지는 인지기능이 월등히 향상됐으나 2주 후에는 다시 인지기능 장애가 보이고 4주 후에는 원상태로 돌아가 치료제로 개발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셀레길린의 약효가 지속하지 않는 원인을 밝혀내고 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신약후보물질(KDS2010)을 개발했다.
셀레길린은 1주일 동안은 마오비 효소를 억제해 GABA 과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지만, 장기간 투여하면 마오비 효소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다오(DAO : diamine oxidase) 효소가 과발현되는 대체기전이 작동, GABA가 다시 과생성되면서 약효가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신약후보물질 KDS2010은 치매 모델 쥐에 먹인 결과 4주까지 지속적이고 월등한 인지기능 개선 효능을 보였고, 행동실험 후 치매 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셀레길린 실험에서 관찰된 대체기전인 다오 효소가 전혀 과발현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기덕 박사는 "KDS2010은 약물 적합성(ADME/Tox) 검증 결과 인체의 뇌 속으로 매우 높은 효율로 전달되고 다른 신경계에 부작용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주간 영장류 실험에서 독성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9월까지 전임상시험을 마치고 임상시험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IST 치매DTC융합연구단 사업으로 수행된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됐다.
scite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