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최문정 교수팀 '헬스케어 기술 사용 위한 통제권 중요성' 입증
국제학술지에 논문…"거부감 섬세하게 살필 필요 있어"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노인 헬스케어 기술 실용화를 위해선 건강정보 공유 내용을 섬세하게 통제해야 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개인 정보에 대한 노년층 거부감을 유형에 따라 직관적으로 살핀 이 논문은 비서구권 데이터 기반 연구로는 드물게 국제학술지에 실렸다.
7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최문정 교수 연구팀은 고령사회에서의 헬스케어 기술 개발 및 사용과 관련해 사용자 개인 건강정보 공유에 대한 통제권 중요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대전시에서 편의 표집으로 조사한 노인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해 헬스케어 기술 실용화 걸림돌인 개인 건강정보 공유에 대한 태도를 확인했다.
쉽게 말해 노인들이 누구에게, 어떤 유형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 싫어하는지 파악했다.
그 내용을 보면 응답자 76.5%는 정부 기관과의 공유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보다 공유를 더 원하지 않았다.
이는 건강한 노년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공공보건 프로그램은 개인 정보 수집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더 많은 노인의 참여'를 위해선 정보를 섬세하게 통제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보공개에 가장 비수용적 태도를 보인 곳은 보험회사다. 응답자 19% 정도만 공유에 긍정적이었다.
가족에게 알리는 것조차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답한 사람은 10명 중 2명꼴이었다.
전반적으로 개인 건강정보 공유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과 연령이다.
교육수준이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정보 공유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다.
경제 상황이나 가족병력을 공유하는 것에도 민감도가 높았다.
기술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지닌 노인은 기술개발자나 기업과의 정보 공유에 대체로 수용적이었다.
최문정 교수는 "건강정보는 그 유형과 내용이 매우 다양하지만, 현재 상용화한 헬스케어 서비스는 개인 건강정보 전체를 공유할지 말지에 대한 선택을 강제한다"며 "노인들에게 정보를 어느 범위까지 공유할지에 대한 통제권을 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신진연구자지원사업과 KAIST 기본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김태경 석사가 1저자로 참여한 논문은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메디컬 인포매틱스'(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3월 14일 자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