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미국 연준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 속셈도"
`차기 대선 맞춤형 증시·경제 호황 노림수' 분석…"증시 폭락해야 무역전쟁 끝낼 것"
(서울=연합뉴스) 윤동영 기자 = `미국과 중국이 최근 보복관세를 주고 받은 후 이제는 양쪽 모두 힘의 한계에 이른 것으로 보이지만, 무역전쟁이 끝나기 위해선 미국 증시가 더 급락해야 할지도 모른다'
블룸버그닷컴은 14일(현지시간) 트럼프와 시진핑이 각각 상대의 확전 불사 의지를 과소평가했고 미국 금융시장도 두 사람이 결국 협상을 타결할 것이라고 오판했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 매체는 중국의 대미 수입이 미국의 대중 수입에 비해 적기 때문에 미국에 대한 추가 보복관세의 여지는 제한된 만큼, 중국으로선 보유한 미국 달러와 국채를 무기화하는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는 중국이 여전히 보유하고 있을 미국 국채의 가치를 떨어뜨림으로써 자해행위가 될 수도 있다고 중국의 한계를 설명했다.
미국의 경우 대중 보복관세를 추가로 부과할 여력은 있으나, 지금까지 보복관세 대상 품목은 대체로 소비자들이 그 영향을 체감하기 어려운 것이었던 데 반해 추가 조치 대상 품목은 그것으로 인한 가격 인상 때문에 소비자가 고통을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이는 또한 트럼프가 질색하는 금리 인상을 부추길 수도 있다.
"시장은 이런 논리를 근거로, 미·중간 적대행위가 더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겠지만, 그런 결과를 투자자들이 진정 원한다면 주식을 매도함으로써 트럼프에 대한 압력을 높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이 매체는 말했다.
그러나 "그런 결과가 나타날 때까지는 시장이 급락 과정을 겪어야 할 것"이라고 이 매체는 내다봤다.
문제는 미국 증시가 지난 2007년 신용거품 붕괴 후나 최근 보복관세 공방 후처럼 급락했다가 금방 회복하는 양태를 계속 이어갈 수 있느냐이다.
블룸버그는 "그럴 것이라는 데에 정치적 내기를 하는 게 정말 좋은 생각일까?"라고 의문을 표시했다.
2007년 신용거품이 붕괴한 후, 1929년 대공황 후 미국 증시나 1989년 정점을 찍은 후의 일본 증시처럼 폭락에 이은 지루한 약세장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됐으나 미국 증시만큼은 이 예측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블룸버그는 그러나 미국을 제외한 MSCI 전세계주가지수(ACWI)를 보면 당초 예측했던 양태대로 움직였다며, 그동안 이 패턴에서 예외였던 미국이 앞으로도 그럴 것이냐에 대해 물음표를 던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보복관세에 집착하는 이유에 대해 블룸버그는 "중국과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중앙은행격)로 하여금 동시에 경제 부양책에 나서도록 한 후, 중국과 협상을 타결하면, 미국 증시가 새로운 고점에 오르게 되고, 차기 미국 대선에 맞춰 미국 경제도 활황이 될 것"이라는 정치적 계산에서 비롯된 것으로 봤다.
대중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올리면 중국이 자국의 경제 부양책을 쓰게 되고, 이는 2016년 여실히 나타났듯 미국 증시의 강세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 세계 경제의 긴장을 높이고 위험자산 가치를 떨어뜨리고 불확실성을 높이면, 연준에 대해서도 금리를 낮추는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트럼프는 단순히 금리를 동결하는 게 아니라 인하할 것을 원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말했다.
yd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