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부터 '㎏' 정의 바뀐다…"일상엔 변화 없어"

입력 2019-05-16 12:00  

20일부터 '㎏' 정의 바뀐다…"일상엔 변화 없어"
킬로그램·암페어·켈빈·몰 단위 재정의 공식 시행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세계측정의 날인 20일부터 국제단위계 7개 기본단위 중 4개의 정의가 바뀐다.
16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표준연)에 따르면 질량 단위 '킬로그램'(㎏), 온도 단위 '켈빈'(K), 전류 단위 '암페어'(A), 물질량 단위 '몰'(mol)의 개정된 정의가 20일 0시부터 공식적으로 시행된다.
4개 단위를 한꺼번에 재정의하는 건 표준과학 역사상 처음이다.
이번 조처로 해당 단위는 전부 시간이 지나도 거의 변하지 않는 기본상수를 정의에 활용하게 됐다고 표준연은 설명했다.


144년 전인 1875년 5월 20일 도량형의 전 세계적인 통일을 처음으로 논의한 미터협약(Meter Convention) 이후 모든 기본단위가 사실상 불변의 속성을 가진다는 뜻이다.
킬로그램의 경우 1889년부터 백금(90%)과 이리듐(10%) 합금으로 만든 '국제 킬로그램 원기' 질량이 정의로 쓰였다.
그러나 130년이 지난 현재 원기 질량 자체가 수십 ㎍(마이크로그램)가량 변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인공물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정의에는 플랑크 상수라는 고정된 값과 물체 질량을 연결하는 키블 저울을 사용한다.
플랑크 상수는 광자(빛) 에너지를 광자 주파수로 나눈 수치다. 중력 상수처럼 언제 어디서나 같은 값을 갖는다.


키블 저울은 질량·중력·전기·시간·길이 등 수많은 측정 표준의 종합체다. 측정 불확실성 정도가 1억분의 1 수준으로 구현돼야 한다.
'절대온도'라고 일컫는 켈빈 역시 물이라는 특정한 물질에 의존하던 것에서 벗어나 볼츠만 상수를 활용하게 된다.
암페어는 '무한히 긴', '직경을 무시할 수 있는' 같은 모호한 서술 방식 대신 '단위 시간 당 전하 흐름'을 표현할 수 있는 기본상수에 근거한다.
몰의 경우엔 킬로그램에 의존하던 기존과는 달리 아보가드로 상수 규정을 척도로 쓰게 됐다.



이 지각 변동은 우리 일상에는 전혀 혼란을 미치지 않는다고 표준연은 강조했다.
예컨대 1㎏ 재정의 때문에 몸무게 숫자가 조정되는 일은 없다는 설명이다.
표준과학자들이 "거대한 변화이지만, 아무런 변화도 없다"(a huge change, but no change)라고 표현하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
박연규 물리표준본부장은 "다만 산업현장이나 실험실에서 이뤄지는 마이크로 수준 미세 연구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며 "의약품의 미세한 분량 차이나 금 같은 고가 물품 측정 오차는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그러면서 "극한 측정 정확도 향상은 첨단산업 경쟁력의 밑거름"이라며 "단위라는 기준이 매우 고도화하면서 최고 수준의 정교한 측정이 가능해진 셈"이라고 강조했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