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어 전체 서비스 이용 차단…우회 접속은 가능
당국, 경제상황 비판적으로 보도한 금융뉴스 잠정 폐쇄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김윤구 특파원 = 중국이 미·중 무역 전쟁과 '6.4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톈안먼 사태) 30주년을 맞아 대내외 통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다음(Daum)에 이어 한국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NAVER)의 접속도 사실상 차단했다.
이는 네이버 등 한국 사이트에 있는 중국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이 중국으로 전파될 수 있다는 중국 정부의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해석이 많다.
11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수도 베이징(北京) 등 일부 지역은 지난달 30일부터 네이버의 접속이 기본적으로 막혔다.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에 이어 차단 대상이 네이버 사이트 전체로 확대된 것이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말부터 중국에서 네이버를 사실상 차단하는 거로 알고 있다"면서 "톈안먼 사태 30주년 등 여러 가지 민감한 상황이라 그런 것 같다"고 말했다.
뉴스는 물론 쇼핑과 날씨, TV연예, 부동산, 지식백과, 학술정보 할 것 없이 PC에서나 모바일에서 모두 접속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쇼핑 메뉴를 클릭해도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이라는 문구와 함께 'http://shopping.naver.com/의 웹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다운되었거나 새 웹 주소로 완전히 이동했을 수 있습니다'라는 설명이 나온다.
다만 암호화한 'https' 사이트로 접속하는 일부 서비스는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네이버 PC 버전 초기화면에 '뉴스' 메뉴가 두 군데 있는데 한 군데는 접속이 불가능하지만 다른 한 곳은 https 사이트로 연결돼 접속이 가능하다.
다른 인터넷 분야 전문가는 중국 당국이 데이터의 통로인 '포트'(port)를 막는 방식으로 네이버 사이트 자체를 차단한 것으로 추정하면서 대문을 걸어 잠근 것에 비유했다. 'http'로 시작되는 네이버의 모든 사이트가 막힌 것이며 암호화한 'https'로만 접속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중국에서는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다. 가끔 열리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하다.
앞서 지난 1월에는 인터넷 포털 다음 사이트도 접속이 차단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네이버나 다음을 이용하려면 VPN(인터넷 우회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지만, 이 또한 최근 중국 당국이 강력 단속에 나서 VPN을 켜도 접속이 잘 안 되는 상황이다.
중국은 수시로 통제를 위해 국내외 인터넷 사이트를 차단 또는 제한하고 있어 이번 네이버 사이트도 같은 경우가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를 두고 한국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중국 내 정치 현안 등 민감한 내용이 퍼지면서 중국 당국을 자극한 게 아닌가 하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지난 2014년 7월부터는 중국 일부 지역에서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라인의 접속이 차단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한국 사이트 차단에 대해 중국 측의 설명과 시정을 요구하고 있으나 별다른 진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중국은 워싱턴포스트 등 서구권 언론과 홍콩 및 대만 매체,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등을 차단하며 중국 공산당 집권을 강화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톈안먼 사태 30주년을 맞아 자사의 웹사이트에 대한 중국 내 접속이 차단됐다면서 이는 중국 당국의 외신 뉴스 웹사이트에 대한 단속에 따른 것이라고 보도했다.
가디언은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와 NBC 방송, 허프포스트를 포함한 일부 외신 뉴스 웹사이트도 톈안먼 사태 30주년을 즈음해 접속이 차단됐다고 전했다.
중국의 금융뉴스 웹사이트 화얼제젠원도 지난 10일부로 당분간 폐쇄됐다.
화얼제젠원은 정부의 시정 요구에 따라 웹사이트와 앱을 닫고 관련 법에 따라 시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이트는 중국 경제 상황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한 보도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난 3월 "온라인 정보 배포의 질서를 어지럽힌" 혐의로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톈안먼 30주년을 앞두고 뉴스콘텐츠 통제를 강화해왔다.
한편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연합뉴스로부터 네이버와 워싱턴포스트, 가디언 등이 차단된 배경에 대한 질문을 받고 "구체적인 상황은 알지 못한다. 주관 부서에 물어보라"면서 "중국은 항상 법과 규정에 따라 인터넷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president21@yna.co.kr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