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복지부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착수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신약 후보물질과 약물 부작용 등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정부가 올해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총 258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AI 플랫폼이 개발되면 신약개발 기간을 15년에서 최단 7∼8년 정도로 줄일 수 있으리라 내다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프로젝트에는 인공지능 및 신약개발 전문가로 구성된 6개 연구팀과 운영 관리기관이 참여한다.
과기정통부는 "1조원 이상의 연구개발(R&D) 비용과 15년에 달하는 연구 기간이 국내 제약사에겐 신약개발의 '진입장벽'이 돼 왔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인공지능 활용이 대두되는 데 정부가 이런 플랫폼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신약 후보물질 발굴용 인공지능 플랫폼이 구축된다. 연구에는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대 등이 참여한다.
주식회사 아론티어는 서울아산병원의 유전체 데이터, 간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 실험 데이터 등을 활용해 폐암·뇌암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한다. 중앙대 연구진은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퇴행성 뇌 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한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제약사들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해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화여대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만들 예정이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에서 새 효능을 발견하는 '신약 재창출'을 위한 플랫폼도 개발된다. 카이스트 연구진은 기존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키로 했다. 또 서울아산병원은 면역항암제를 쓸 때 이상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개발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공개할 예정"이라며 "사업이 종료된 뒤에도 연구기관이 소유권을 보유해 플랫폼을 최신화해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