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8월 외계행성탐색시스템으로 관측…25일 성과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지구 공전궤도 근처를 지날 수 있는 궤도를 가진 소행성 2개를 발견했다. 이 중 하나는 지구충돌 확률 28억분의 1로, 국제천문연맹(IAU) 소행성센터가 '지구위협소행성'(PHA)으로 분류했다
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박사팀은 작년 8월 칠레,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 3기로 이런 소행성을 찾았다고 25일 밝혔다. 두 소행성은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에서 각각 '2018 PM28'(이하 PM28), '2018 PP29'(이하 PP29)라는 임시번호를 받았다.
PM28의 지름은 20~40m 사이로 추정된다. 44일간 궤도운동을 추적한 결과 이 천체는 궤도운동 중 태양까지의 최소거리(근일점 거리)가 1.3AU(약 1억9천500만㎞)보다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런 소행성을 근지구소행성(NEA)으로 분류한다.
지구와 비슷한 궤도로 공전하는 게 이 소행성의 특이점이다. 근지구소행성의 궤도는 대부분 긴 타원형이며 궤도 평면은 지구 공전면에서 벗어나 있다.
천문연구원은 "PM28은 알려진 근지구소행성 가운데 원궤도에 가깝기로는 상위 1%, 지구 공전궤도 면과 가까운 상위 10% 안에 들고 궤도 장반경은 1.026AU로 지구 궤도장반경인 1AU에 가까운 상위 2% 내"라며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소행성은 현재까지 총 9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 소행성은 앞으로 100년간 지구와 충돌할 위협은 없는 것으로 계산됐다.
PP29의 경우 28억분의 1에 불과한 확률이지만 2063년과 2069년 각각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 소행성의 지름은 160m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보다 작은 지름 140m급 천체의 경우 지구에 충돌하면 충돌점에서 반경 수백㎞ 지역까지 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 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 소행성을 '지구위협소행성'(PHA)으로 분류했다. PP29의 궤도는 긴 타원 형태이며 공전 주기는 5.7년이다.
"지구충돌 확률 28억분의 1"…천문硏, '지구위협소행성' 발견 / 연합뉴스 (Yonhapnews)
연구진은 2016년부터 KMTNet으로 태양계 행성들이 지나다니는 공전궤도면 부근인 황도대를 관측하는 '남천 황도대 집중탐사연구'(DEEP-South)를 진행하고 있다. 황도대는 소행성이 많이 발견되는 '길목'으로 알려졌다.
KMTNet은 천문연이 2015년부터 운영하는 남반구 천문대 네트워크다. 보름달 16개가 들어가는 넓은 하늘을 한 번에 촬영하는 카메라를 탑재해 외계행성 탐색과 소행성 탐사 관측에 최적화돼 있다.
두 소행성을 발견한 정안영민 박사는 "지구위협소행성을 발견한 것은 우리나라에선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런 발견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광시야 망원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