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수단 군부-야권, 권력이양 위한 최종협정 서명

입력 2019-08-18 00:19  

아프리카 수단 군부-야권, 권력이양 위한 최종협정 서명
독재자 바시르 축출 후 문민정부 기대감…"수단 역사의 새 페이지"

(카이로=연합뉴스) 노재현 특파원 = 아프리카 수단의 군부와 야권이 17일(현지시간) 문민정부 수립을 목표로 한 권력이양 협정에 서명했다고 AP, AFP 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수단 과도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인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와 야권연대 '자유와 변화의 힘을 위한 선언'(DFCF) 지도자 아흐메드 알-라비는 이날 수단 수도 하르툼에서 최종적인 권력이양 협정에 서명했다.
서명식에는 아비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 무스타파 마드불리 이집트 총리 등 주변국 지도자들도 참석했다.
수단 군부와 야권은 협정에 따라 공동통치기구를 만들고 내각도 설립할 예정이다.
특히 공동통치기구인 주권위원회 멤버 11명은 민간인 6명과 군부 인사 5명으로 구성된다.
군부 지도자가 과도통치기간 3년 3개월 가운데 초반 21개월 동안 주권위원회를 이끌고 다음 18개월은 야권 지도자가 맡을 예정이다.
과도통치기간이 끝나면 민주적 절차에 의한 대통령 선거가 진행된다.
외신에 따르면 수단 야권은 과도내각을 이끌 총리로 유엔에서 활동한 저명한 경제학자인 압달라 함독을 지명하기로 결정했다.

수단 국민은 이날 권력이양 협정 서명에 기쁨을 드러냈다.
반정부 시위대 지도자인 모하메드 나지 아삼은 "수단 역사에서 수십년간 억압과 부패를 거쳐 새 페이지를 열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협정은 독재자 오마르 알-바시르 전 대통령의 축출 이후 민주화를 향한 큰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수단에서는 지난해 12월 19일 정부의 빵값 인상에 항의하는 시위가 발생했고 국민의 분노는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로 확산했다.
그러다 올해 4월 11일 수단 군부는 바시르 당시 대통령을 권좌에서 축출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989년 쿠데타로 집권한 바시르의 30년 철권통치는 마무리됐다.
이후 권력을 잡은 군부와 문민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야권이 대립하면서 혼란이 이어졌다.
양측은 5월 중순 문민정부로 권력을 이양하기 위한 3년의 과도기 체제에 합의했지만, 통치기구인 주권위원회의 권력배분을 둘러싼 갈등으로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결국 양측은 에티오피아와 아프리카연합(AU)의 중재를 거쳐 지난달 5일 주권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수단에서는 권력 이양 협정이 탄생하기까지 유혈사태도 여러 차례 벌어졌다.
특히 지난 6월 초 군부가 하르툼의 국방부 청사 앞에서 연좌 농성을 하던 반정부 시위대를 해산하려고 실탄을 발사하면서 100여명이 숨졌다.
지난달 29일에는 민주화 시위에 참여한 고교생 등 5명이 총에 맞아 숨지는 사건이 벌어져 군부와 야권의 협상이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noj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