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회장 취임간담회…"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정립에도 노력"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김경수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장(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8일 "월성 원자력발전소 건식저장시설(맥스터)을 적기에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올해 취임한 김 회장은 이날 서울역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2021년 (맥스터가) 포화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맥스터 추가 건설이 필요하다"며 "원전 안전 운영을 위해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원전 원자로에서 꺼낸 사용후핵연료는 우선 습식저장시설에서 보관된다. 수년이 지나 사용후핵연료의 열이 어느 정도 식으면 건식저장시설로 옮겨 임시 보관할 수 있는데 이런 시설의 한 종류가 맥스터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월성원전 부지에 맥스터 7기를 건설해 2010년부터 이용해 왔고, 7기를 증설을 위한 운영변경 허가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신청한 상태다. 원안위는 작년 11월 이를 안건으로 올려 한 차례 논의했고, 오는 10일에도 심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월성본부 내 건식저장시설 저장률(작년 6월 기준)은 96.04%에 달한다.
윤종일 부회장(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은 "원안위가 최종적인 결정을 하고 있지 않다"고 상황을 설명하며, "건설 기간이 19개월 필요하므로 올 상반기 결정이 되지 않으면 월성 4호기까지 운영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김 회장은 임기 2년간 사용후핵연료 관리 정책의 재정립에도 힘을 보태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그는 "원자력 발전 '세계 5위'라는 위상에도 불구하고 사용후핵연료 관리 대책 마련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평가하며 "수명이 다 된 발전소가 늘어나는데, 원전 해체를 위해서는 저장시설이 필요하다. 점차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인 파이로프로세싱의 연구개발이 올해 지속 여부 평가를 거치게 되는 것에 대해서는 "원자력발전을 계속하는 한, 기초·원천기술은 가지고 있는 게 좋지 않겠냐"면서 "미래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려면 기본적인 연구 차원은 나쁘지 않겠다"는 의견을 냈다.
이 밖에 올해 원자력학회, 지질학회, 암반공학회, 지질공학회 등과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에 관한 심포지엄'을 열겠다고 밝혔다. 또 과학기술자와 지역사회 대표, 환경운동가 등이 참여하는 토론장인 '이해관계자 소통분과위원회(가칭)'를 학회에 설치하겠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원자력연구원의 핵종 분석 오류 이후 상황에 대한 설명도 나왔다. 연구원이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로 보낸 방폐물 정보 대부분에서 작년 오류가 확인됐고, 이에 방폐물은 1년째 처분 시설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강문자 부회장(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통합관리단장)은 "원자력연구원 외에 한수원도 (핵종) 분석 대책을 강구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역시 검증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인 것으로 안다"면서 "이를 준비하는 데 1~2년 걸릴 거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는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에 이바지하고 원전해체 연구진흥과 관련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3년 6월 설립됐다. 현재 2천500여 명의 회원과 54개 법인이 학회에 소속돼 있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