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SK 기업들, 중국 공급망 긴급점검…"장기화땐 위험"
(서울=연합뉴스) 업계팀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이 빠른 속도로 확산하며 국내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에도 비상이 걸렸다.
중국 정부가 춘제(春節·중국의 설) 기간을 계속해서 연장함에 따라 기업들의 공장 가동 중단이 길어지면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소 인력으로 공장 가동을 이어가거나 부품 수급 상황을 긴급 점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춘제 연장에 한국 공장 가동 지연 속출…"최소 인력 운영"
신종 코로나 사태 초기에는 진원지인 후베이(湖北)성 인근 지역만 춘제 연휴 연장을 발표했지만, 사태가 악화하면서 연장 지역도 늘고 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망(環球網)에 따르면 상하이(上海)시와 장쑤(江蘇)성, 광둥(廣東)성 등 최소 16개 성과 직할시가 기업들의 연휴 기간을 오는 9일까지로 연장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의 한국 기업들도 공장 가동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먼저 삼성전자[005930]는 쑤저우(蘇州) 가전 공장을 8일까지 가동 중단할 예정이며, LG전자[066570]도 지방정부 방침에 맞춰 생산 재개 일정을 늦추고 있다.
SK이노베이션[096770] 창저우(常州) 배터리 조립공장도 오는 9일까지 생산라인 정지한다. 다만 회사 관계자는 "본격 납품은 하반기부터여서 현재로선 차질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SK이노베이션 중국 옌청(鹽城) 배터리 공장도 건설 일정을 늦출 수밖에 없게 됐다.
LS전선 또한 이창(宜昌)과 우시(無錫)의 케이블 공장 가동 중단을 각각 오는 9일까지로 조정했고, 확보해둔 재고를 통해 납품 일정을 맞추기로 했다.
LG화학[051910]은 중국 난징(南京) 배터리 공장을 최소한의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공장 가동 중단 시 피해가 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공장의 경우 대부분 정상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의 시안(西安) 공장과 SK하이닉스[000660]의 우시(無錫) 공장 등 반도체 생산라인은 춘제 연휴에도 최소 인력으로 가동돼 왔다.
삼성디스플레이도 쑤저우(蘇州)를 비롯한 모든 공장을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034220]도 옌타이(煙台) 모듈 공장 외에는 모두 정상 가동되고 있다.
다만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난징(南京)과 광저우(廣州) 공장도 가동 중단을 포함한 모든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SK종합화학의 우한(武漢) 정유화학공장은 한번 껐다 켜는 데 최장 2주간의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가동 중단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
◇ 중국 부품·소재 조달 우려 확산…공급망 '비상'
더 큰 문제는 중국 부품, 소재 공장의 가동 중단 장기화에 있다는 게 업계 지적이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실질적 피해와 우려는 중국에서 들여오는 소재 수급"이라며 "춘절 기간을 고려해 재고를 확보해둔 상태지만 상황이 길어지면 수급이 타이트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도 "현지 휴무 상태가 장기화하면 공급망 전후방이 멈추는 것"이라고 우려했고,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아직 부품 수급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장기화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업계는 이미 중국 공급망 문제로 국내 공장이 타격을 받고 있다. 중국에 의존하는 전선 부품(와이어링하니스)이 공급되지 않아 재고 부족으로 완성차를 조립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쌍용차[003620]는 4일부터 12일까지 평택공장에서 자동차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고, 현대차[005380]도 이번 주말 울산공장 팰리세이드 생산라인의 특근을 철회하는 등 생산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
국내 완성차업체들은 2만∼3만개에 이르는 부품 대부분을 국내 협력업체에서 조달하고 있지만, 이번에 문제가 된 와이어링하니스는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들여오고 있다.
산업연구원 이항구 선임연구위원은 "국내에서 생산하던 와이어링하니스를 원가절감을 위해 중국에서 조달하면서 생긴 위험이 현실화한 것"이라며 "국내에서는 이 부품의 생산과 관련해 구조조정을 했기 때문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동차 부품업체의 생산기지가 이미 외국에 많이 진출했고, 대부분 저가 생산기지여서 국내로 유턴하기 쉽지 않으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기업들도 중국 공장 가동 중단 사태에 긴장하는 모습이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일본 히타치는 "신종 코로나의 확산으로 공급망에 위협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애플도 협력업체 대만 폭스콘의 중국 공장들이 가동을 중단하면서 공급망 차질이 불가피하고, 전기차 업체 테슬라도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
◇ 기업들, 중국 내 공급망 점검에 '총력'…"장기화 대비"
기업들은 중국과 관련된 공급망을 면밀히 체크하고, 장기화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이주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SCM(공급망관리)이 온전하게 유지돼야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며 "전반적인 SCM을 체크해가면서 슬기롭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도 "사태가 장기화하면 영향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이미 신종코로나 대응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고, 부품 소재 단의 영향도 면밀하게 파악 중이다.
이밖에 LG전자와 LG화학, LS산전[010120] 등도 부품과 원자재 공장 가동 일정 현황을 파악하며 만일의 상황을 대비한 대응책을 논의 중이다.
다만 중국 정부의 교통 차단과 국경폐쇄, 시시각각 변화하는 지방 정부의 지침 등 변수가 많고 부품 공장 출근이 미뤄지고 있어 제대로 된 상황 파악조차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항구 위원은 "일본은 동일본대지진 등의 학습효과로 납품선 다변화 고민을 했다"며 "혼다도 중국 공장이 멈춰서니 필리핀 등 동남아 기지를 활용한다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애플은 폭스콘에서 발생하는 생산 손실을 대체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PSA와 르노 등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acui7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