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硏 보고서 "1·2인 가구 비중 2047년 72% 이를 전망"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여성보다는 남성, 그중에서도 40·50대의 증가세가 큰 만큼 이에 맞는 주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토연구원 박미선 연구위원은 3일 주간 국토정책 브리프 '연령대별·성별 1인가구 증가 양상과 주거특성에 따른 정책 대응방향'을 통해 1인 가구의 특성을 반영해 주거정책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가구 구조의 변화로 부부와 자녀 중심으로 이뤄진 전형적인 3·4인 가구가 급감하면서 1·2인 가구는 급증하고 있다.
1985년 6.9%였던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27.2%에 이어 2047년 37.3%(832만가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2017년 31.4%에서 2047년 16.3%로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박 연구위원은 "2047년에는 1·2인 가구가 다수(72.3%)를 차지하게 될 예정"이라며 "기존의 '가구주+배우자+자녀'라는 정상가족 모델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10년간(2008~2018년) 1인 가구 증가 양상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두드러졌고, 특히 중장년 남성층에서 1인 가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박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남성 1인 가구는 2008년 94만4천가구(36.0%)에서 2018년 290만6천가구(49.7%)로 급증했으나 여성 1인 가구는 같은 기간 167만7천가구(64.0%)에서 294만2천가구(50.3%)로 숫자는 늘었지만 비중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년간 남성 1인 가구의 증가율을 연령대로 보면 40대는 283%, 50대는 358%에 달했다.
박 연구위원은 "1인 가구 특성을 반영한 주거정책을 재설정하기 위해서는 취약·고위험 1인 가구의 기초실태를 우선 파악하고 중앙정부가 종합적인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4인 가구 중심으로 설정된 국민주택 규모에 대한 재검토를 벌이고 최저주거기준 미달 1인 가구를 위한 지원 방안과 공유형 주택을 위한 새로운 주거기준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이한 연령대별·성별 주거비 부담과 주거취약 상황을 반영해 주거 소요 대응전략을 다양화하는 등 맞춤형 정책 대응도 필요하다고 박 연구위원은 덧붙였다.
bana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