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매체 SCMP, 중국 전문가들 인용 보도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 산업망이 재정비되더라도 중국이 동아시아경제권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중국 전문가의 관측이 나왔다.
28일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현대국제연구원 소장을 지낸 천펑잉(陳鳳英)은 코로나19로 지역적인 경제블록 형성이 가속화될 것이라면서 북미·유럽·동아시아 등 세 권역으로의 재편 전망을 내놨다.
코로나19 여파로 세계적으로 중국에 대한 반감이 커질 것이라는 예상 속에 산업망 조정이 가속화되면 중국이 장기적으로 세계 경제에서 주변으로 밀려날 수있다는 우려 속에 나온 분석이어서 주목된다.
중국이 서방과의 정치적 갈등에도 불구하고 세계시장에 남겠다는 의지가 확고한 가운데, 중국이 현 위치를 유지할지 아니면 고립될지가 코로나19 이후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라는 게 SCMP 설명이다.
천 전 소장은 "동아시아 블록은 중국의 산업 시스템과 거대한 시장 규모에 의해 결정된다"면서 "중국은 북쪽으로는 일본과 한국, 남쪽으로는 동남아시아를 연결할 능력을 갖췄다"고 봤다.
그는 또 이러한 흐름이 이미 중국의 대외무역에 반영되고 있다면서, 동남아국가연합(ASEAN)이 유럽연합(EU)을 제치고 지난 1분기 중국의 최대 교역 상대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중국의 고립 및 디커플링(탈동조화) 위협이 부각되는 와중에도 중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의 제조업국가이자 소비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의 경우, 지난달 중국 자동차업계의 전반적인 부진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450% 이상 많은 1만2천여대를 파는 등 중국에서 최고의 실적을 냈다는 것이다.
황치판(黃奇帆) 전 충칭(重慶)시장도 이달 초 전 세계 공급망이 특정 지역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밸류체인의 핵심부분 등 약 70%가 집중되는 반경 50~200km 구역인 '생산기지'를 중심으로한 산업망 재편을 예상하면서 "글로벌 운송망 접근이 쉽고 사업환경이 좋은 '생산기지'가 향후 미래"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재조정이 세계화에 대한 완전 부정은 아니다"면서 "180도 방향 전환 대신 개방을 강화하는 게 올바른 접근법"이라고 말했다.
SCMP는 코로나19에 따른 국경 통제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가 삼성전자의 산시성 시안(西安) 반도체공장 인력 200여명에 대한 입국을 허용한 것을 투자우호적인 결정의 예로 들기도 했다.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딩이판(丁一凡) 연구원은 중국의 산업능력에 대해 '대마불사'라면서 "중국은 통신장비에서 고속철도까지 거의 모든 산업영역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경제발전 초기에 외국 투자에 크게 의존했다. 서방 국가가 중국을 떠나겠다고 할 때마다 정말 걱정했다"면서 "하지만 이제 더는 문제가 아니다. 중국은 자체적인 산업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