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농업생산계획 미달 반성도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북한이 식량자급이라는 정책목표 달성에 박차를 가하면서 최대 쌀 생산지인 황해남도가 농업 생산량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8일 모내기 철을 맞은 황해남도의 농업 생산량 확대 의지를 소개했다.
리철만 황해남도 당위원장은 노동신문 기고문에서 "지금 어느 포전(논밭) 머리에 가보아도 농장원과 마주 앉아보면 정신 상태가 대단히 높다"며 황해남도를 사회주의 농촌 건설구상이 완벽하게 실현된 도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리재식 안악군 당 위원장도 별도의 기고문에서 "항상 다수확에 명줄을 걸고 새 출발을 한다는 심정으로 농업발전에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식량생산 목표를 채우지 못했다며 반성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리재식 위원장은 "지난 시기에는 농민이 아파하는 문제를 외면하고 수확고만 따지는 현상, 일솜씨를 타발(투정)만 하던 그릇된 사업 기풍이 우리 일꾼(간부)에게 없지 않았다"며 "후과가 쌓여 농업생산계획의 미달이라는 가슴 아픈 결과를 산생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택 건설과 수자원 공급, 교육조건 개선, 병원 현대화, 도로포장 등의 조치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과학 농법의 도입과 비료·관개시설 등 '물질적 보장'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북한은 수년째 농업 생산량 확대를 위한 방안 강구에 골몰하고 있다.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뒤 2013년부터 도입한 '분조 관리제'도 이 같은 노력의 일환이다.
분조 관리제는 수십명 규모였던 작업반을 10∼15명 수준의 '분조'로 쪼갠 뒤, 3∼5명이 하나의 논밭을 맡아 경작하도록 한 것이다.
해당 논밭에서 생산한 곡물 가운데 국가가 제공한 비료·전기·관개 사용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경작한 농민이 현물로 받아 가격 흥정을 통해 처분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북한의 식량 생산량은 봄·여름철 극심한 가뭄 같은 자연재해 등으로 평년 수준을 밑돌았다고 국제기구들은 평가했다.
더군다나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주요 식량 생산국인 러시아·베트남 등이 식량 수출을 중단한 가운데 북한의 식량 수급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지난해 말 김정은 위원장이 대북 제재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경제 정면돌파전을 선언한 만큼, 올해 농업 생산량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이다.
김 위원장이 지난해 말 노동당 제7기 5차 전원회의 보고에서 "농업 전선은 정면돌파전의 주 타격 전방"이라고 선언한 이후 북한은 식량의 자급자족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heev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