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기여도 높은 업종에서 생산능력 하락 두드러져"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최근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이 눈에 띄게 나빠지고 있어 고용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설비, 인력, 노동시간 등 조업 환경이 정상적인 상태라고 가정했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실적을 말한다.
한경연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2017년 103.1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103.0)과 지난해(102.9)에는 낮아졌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의 연평균 증가율을 5년 단위로 비교하면 2016년부터 작년까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역대 최저수준인 0.7%였다. 1991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평균 증가율(4.7%)에 비하면 7분의 1 수준이었다.
직전 5년인 2011∼2015년의 연평균 증가율은 2.2%였다.
한경연은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높은 고용친화형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되거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고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018년 생산액 기준 상위 10대 제조업 중에서 작년 생산능력지수가 2015년에 비해 1% 이상 향상된 업종은 전자부품(20.1%), 화학(8.0%) 등 5개였다.
생산능력이 1% 이상 감소한 업종은 2개로 고무·플라스틱이 3.6%, 금속·가공이 8.5% 줄었다.
2015년 수준을 유지한 업종은 기타 기계 및 장비, 자동차 및 트레일러 등 3개였다.
이들 업종의 2018년 기준 제조업 생산액 비중을 살펴보면 생산능력이 상승한 5개 업종의 비중이 55.1%로 절반 이상이었다.
생산능력이 정체한 3개 업종과 하락한 2개 업종의 비중은 각각 34.1%, 10.8%였다.
고용 비중을 살펴보면 생산능력이 정체하거나 하락한 업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능력이 상승한 업종은 국내 고용 비중이 39.7%, 정체한 업종은 35.2%, 하락한 업종은 25.1%였다.
한경연은 고용인원 비중이 높은 5개 업종(기타 기계 및 장비, 금속가공제품, 전자부품, 자동차 및 트레일러, 고무 및 플라스틱) 중 전자부품을 제외한 4개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되거나 하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고용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경연은 한국수출입은행의 현지법인 업종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대 제조업 중 생산능력지수 감소폭이 8.5%로 가장 컸던 금속가공제품 업종의 2018년 해외 종업원 수는 2015년에 비해 47.5%(1만4천898명)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내 고용 인원은 같은 기간 3.9%(1만4천957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글로벌 밸류체인(가치사슬)이 재편되면서 전 세계 각국이 리쇼어링(해외생산기지의 자국 복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기업관련 규제 개선, 각종 투자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경쟁국보다 제조업 경영환경의 비교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he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