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노동시장 위축과 고용 불안이 전염병으로 침체한 경기의 반등을 더욱더 어렵게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오태록 연구위원은 정기 간행물 '금융브리프'에서 해외 주요 연구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 요인을 짚어봤다.
오 연구위원은 "역사적으로 전염병에 타격받은 경제가 예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과정은 최소 수년이 걸렸다"며 "전염병은 무엇보다 노동의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위축시킴으로써 경제회복을 늦춘다는 점에서 다른 위기와 차별적이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은행(FRB)과 중국 푸단대 연구진에 따르면 홍콩독감 등을 포함해 196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친 6개 전염병을 연구한 결과, 전염병 영향을 받은 국가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평균 약 3% 낮게 나타났고, 회복 기간도 길었다.
또 로버트 배로 미국 하버드대 교수 등의 연구 자료를 보면 1918∼1920년 스페인 독감 발생 당시 48개국의 GDP가 단기간에 평균 6% 줄었고, 이후로도 수년간 유의미하게 반등하지 못했다.
오 연구위원은 "일련의 연구 결과, 전염병으로 침체한 경기는 노동시장 수요와 공급의 동반 위축, 고용 불안 요소 등 때문에 빠르게 반등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실업과 고용 불안은 코로나19 진정세 이후에도 소비를 비롯한 경제활동을 상당 기간 억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한국 역시 노동시장 여건이 향후 경제 회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노동시장 불안 요인 해소에 정책의 방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