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 발표…"지속가능한 기반 마련"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정부가 2025년까지 밀 자급률을 지금의 5배 수준인 5%로 늘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산 밀 생산부터 최종소비까지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담은 '제1차(2021∼2025)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18일 발표했다.
식용 밀 국내 수요량은 연간 215만t 수준(최근 5개년 평균)이지만, 국내 생산량은 3만t(자급률 1% 내외)으로 대외 충격에 취약한 상황이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곡물 수출 제한, 물류 차질 우려가 커지며 식량안보 차원에서 최소한의 곡물을 자급·비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2월 28일부터 '밀 산업 육성법'이 시행됨에 따라 5년 단위 첫 번째 법정계획이 나오게 됐다.
◇ 밀 자급률 5년 내 5%, 10년 내 10%로…품질 고급화 함께 추진
정부는 2025년까지 밀 자급률 5%를 달성하고 2차 기본계획(2026∼2030년) 기간 내 10%를 이룬다는 목표를 세웠다. 올해 밀 자급률은 1.0%다.
이를 위해 ▲ 생산기반 확충과 품질 고급화 ▲ 국산 밀 유통·비축 체계화 ▲ 대량·안정적 소비시장 확보 ▲ 현장 문제 해결형 연구개발(R&D) 전환 ▲ 국산 밀 산업계 역량 강화 등 5대 추진 방향에 따라 14개 중점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생산기반 확충과 품질 고급화를 위해 밀 재배면적을 현 5천㏊에서 2025년까지 3만㏊로 늘리고, 자급률 제고와 품질 고급화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생산단지를 50개소까지 조성한다.
종자 순도를 높여 고품질 국산 밀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보급종 공급물량을 확대하고 생산단지에는 반값에 할인 공급한다.
밀·콩처럼 식량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으나 자급기반이 취약한 품목은 논활용직불금 등을 포함해 각종 정부 지원 사업에서 우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소규모로 분산된 밀 유통과 비축은 품질 균일성 확보, 거래 규모화, 유통 효율화를 위해 보다 체계화한다.
중장기적으로 국내 밀 생산량의 50%는 사일로·저온저장고 등을 구비한 지역 거점시설을 통해 보관·유통하고, 수급 안정과 식량안보 차원에서 2025년까지 전체 밀 생산량의 25% 수준을 비축한다.
또 원곡의 가공적성을 평가하는 밀 품질관리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품질 고급화와 맞춤형 소비 활성화를 유도한다.
◇ 국산 밀 원산지표시 도입…현장밀착형 R&D도 뒷받침
기본계획에는 생산된 밀이 안정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1년부터 밀 재배 농가와 실수요업체(제분·가공업체) 간 계약재배자금을 무이자 융자·지원하고, 국산 밀 품질 수준과 수입 밀 대체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주력 소비 품목을 다양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음식점 밀 메뉴 중 국내 소비량이 많고 수입 밀과 품질 경쟁이 가능한 메뉴를 중심으로 원산지표시제를 도입해 국산 밀 대중화를 추진한다.
R&D는 현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국산 밀의 안정적인 생육·수확 기간 확보를 위해 고품질 밀 생산 중심의 밀-벼, 밀-콩 등 이모작 재배기술을 개발하고 현장 보급을 촉진한다.
국산 밀 생산자·산업체가 요구하는 맞춤형·기능성 품종을 농가에 조기 보급해 국산 밀 산업의 부가가치 제고와 생산성 향상을 유도한다.
농촌진흥청의 밀연구팀은 내년부터 과 단위 정규조직으로 확대·개편해 현장에서 요청한 시급한 연구과제를 해결하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
아울러 민간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국산 밀 수요 창출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우수 기업·지자체를 발굴해 국산 밀 소비 확대를 민·관이 함께 견인하도록 했다.
국산 밀 생산자, 제분·가공업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정기적 소통·협력 채널 '(가칭)국산밀산업발전협의체'도 구축해 운영할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제2의 주곡이면서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밀 자급기반을 확충하고 소비 확대를 추진해 지속가능한 국산 밀 산업기반을 구축하고자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본계획이 관련 기관·부서, 현장에서 제대로 추진되는지 생산자단체, 관련 업계 등과 계속 소통하고 미흡한 점은 매년 점검·보완해 밀 자급률 제고 대책이 현장에 기반을 둔 구체적 실행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