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기자 = 현재 주요국 경제의 물가 상승요인은 소비 증가 등 수요 측면 압력보다 통화량 증대와 원자재 가격 상승 같은 공급 측면 압력이 더 크므로 이에 맞는 대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8일 펴낸 '코로나발 글로벌 인플레이션 시대 도래하나'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먼저 최근 미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2.24%로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주요국에서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는 원인을 점검했다.
연구원은 "2016년 이후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전환했던 주요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 위기 후 정책금리를 인하하고 채권 매입을 확대하는 등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로 전환했다"며 이런 기조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높인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이어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최근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이상기후와 공급 차질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해 애그플레이션(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도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올해부터 주요국 국내총생산(GDP) 갭(실제 GDP와 잠재 GDP 간 차이)이 축소되고 있고 경기선행지수가 개선되는 등 수요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는 것도 인플레이션 가능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는 기업 비용 부담과 관련 투자가 확대되는 것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런 요인들을 종합했을 때 "단기적으로는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보다는 공급 가격 상승 요인에 따른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세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도 불가피하다"며 "세계 인플레이션 충격이 국내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물가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생활물가 안정을 통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약화하는 것을 막고, 세계 식량 가격 상승 영향이 국내 식탁 물가 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수급조절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y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