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투쟁 보는 것 슬퍼, 정치협상 필요"…소수민족 내 무장 투쟁 이견 노정
전문가 "KNU 7개 여단 중 절반만 무장투쟁 현실 방증"…"개인 의견" 반발도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미얀마 주요 소수민족 무장조직 중 하나인 카렌민족연합(KNU)을 이끄는 인사가 무장 투쟁이 아닌 미얀마군과 협상을 통한 사태 해결을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진영의 연방군 창설 작업에 제동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올 전망이다.
12일 현지 매체 이라와디에 따르면 소 무투 사이 포 KNU 의장은 10일 성명을 내고 쿠데타 사태에 대한 평화적 해결을 촉구했다.
사이 포 의장은 "무기를 들고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게 돼 슬프다"면서 "정치적 문제는 협상이라는 정치적 수단을 통해 해결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국휴전협정(NCA)의 원칙을 유지할 것이라며, 이해 당사자들도 NCA를 따름으로써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KNU는 2015년 군 출신 테인 세인 대통령 정부에서 휴전협정을 체결한 8개 소수민족 무장조직 중 하나다.
전문가들은 사이 포 의장의 성명은 지난 3월 군부에 대해 밝힌 입장에 비해 완화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당시 그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으로부터 미얀마군의 날(3월27일) 초청을 받은 뒤 답장에서 군부에 시위대 진압을 위해 배치한 군경을 철수시키고,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 등 구금 중인 이들도 즉각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요구 사항을 이행하기 전까지는 흘라잉 최고사령관을 만날 일은 없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수민족 사안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이라와디에 KNU의 7개 여단 중 절반(카렌주 파푼·바고지역 쉐찐·몬주 따톤)만이 무장 투쟁에 참여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KNU의 지도부조차도 무장투쟁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상황이 반영됐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KNU 중앙위원회 소속 한 지도급 인사는 사이 포 의장의 성명은 개인적 견해이지, KNU 차원의 뜻을 대신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많은 카렌 젊은이들은 SNS에서 현재 군부가 무차별 학살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70년간 자치권을 주장하며 벌여 온 무장 혁명을 지지하지 않는다면 현 지도부는 그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고 이라와디는 전했다.
KNU의 군사조직인 카렌민족해방군(KNLA)에서는 현재 5여단이 가장 활발하게 무장 투쟁을 전개하고 있다.
3월말 카렌주 파푼 지역에서 미얀마군 전초기지를 점령했고, 4월 말에는 태국 매홍손주와 국경을 형성하는 살윈강변의 전초기지를 차지했다.
이 과정에서 미얀마군 약 200명을 사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얀마군도 공습을 여러 차례 진행, 3만명 이상의 주민들이 집을 떠나 밀림 등에 피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부는 5여단이 평화협정을 위반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도, KNU 지도부와는 NCA 이행을 위해 정기적으로 접촉 중이라고 밝혔다고 이라와디는 전했다.
이라와디는 사이 포 의장이 흘라잉 사령관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고 덧붙였다.
북부 카친독립군(KIA)과 함께 가장 활발한 무장투쟁을 벌이는 KNU 내에서도 이견이 드러나면서 민주진영이 추진 중인 연방군 창설 작업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소수민족들 사이에 과거 정부의 '약속 파기' 때문에 민주진영의 연방민주주의 약속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존재감이 큰 KNU가 무장 투쟁에 반대한다면 연방군 창설에 참여하기 힘든 것 아니냐는 것이다.
KNU의 외교담당 책임자인 파도 소 토 니는 지난 3일 현지 매체 프런티어 미얀마와 인터뷰에서 "연방군은 하룻밤 사이에 만들어질 수 없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미얀마 국민들이 KNU에 의지하는 건 기쁘지만, 우리는 우리만의 정책과 방침이 있다. 어떤 일이 있어도 천천히 그리고 점진적으로 연방민주주의를 쟁취하겠다는 1956년에 정한 정책을 따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진 마 아웅 국민통합정부(NUG) 외교장관도 최근 이라와디와 인터뷰에서 일부 대규모 소수민족 무장단체들이 NUG에 협력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일부 소수민족 무장조직은 협력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지켜보기를 원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NUG가 이달 초 시민방위군(People's Defense Force)를 창설한 것은 이런 현실을 고려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sout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