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임상연구 이어지도록 2023∼2027년 다부처 R&D 사업 기획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활성화·혈액공급체계 대안 마련 기대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정부가 '인공혈액'을 생산하기 위해 관련 연구개발 사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인공혈액 기술은 실험실에서 줄기세포 등을 이용해 혈액의 구성 성분인 적혈구와 혈소판 등을 만드는 것으로, 현재 기초연구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연구 성과가 임상 연구로 이어져 실제 쓰일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3차 혁신성장 빅3(BIG3) 추진회의를 열고 인공혈액 기술 개발 지원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우선 2023∼2027년 1단계로 다부처 공동사업을 통해 임상용 인공혈액 생산 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어 2단계로 2027년부터 임상연구·시험을 지원하고, 3단계로 2032년부터는 수혈용 인공혈액 대량생산 기술 확보 사업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는 제조·생산기술이 확보되면 2030년대 중반에는 수혈 가능한 인공혈액이 개발될 것으로 보고 실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에 따르면 인공혈액은 혈소판감소증, 재생불량성빈혈 등 혈액 관련 질환 연구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첨단재생 바이오 제품·기술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헌혈에 의존하고 있는 현행 혈액 공급체계를 대체할 기술이 될 수도 있다.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지속 중인데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현행 혈액 공급체계로는 수급 불균형이 더 심화할 것으로 예상돼 대안 기술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날 2023∼2027년 1단계로 추진할 다부처 공동사업에 대한 세부 내용을 발표했다.
사업의 주요 내용은 임상용 인공혈액을 생산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과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관련 연구 과제 14건 이상에 270억원을 투입했으며, 수혈용 적혈구 대량생산기술 등 기초 기술은 개발한 상황이다.
또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역분화줄기세포를 이용해 혈관 유래 세포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미니돼지를 이용한 인공혈액 연구를 진행하는 등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인공혈액 연구는 아직 기초 단계를 넘어 임상 수준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임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안전성·유효성 평가나 표준화된 공정 기술도 없는 실정이다.
반면 해외에서는 인공혈액 기술에 과감히 투자해 원천기술을 확보한 데 이어 임상 진입에도 근접했다.
미국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 지원을 통해 인공혈액세포 생산 기술을 확보한 데 이어 원료 생산 단가를 18분의 1 수준으로 낮췄고, 일본의 경우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인공 혈소판 개발에 성공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을 앞두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내에서도 그간의 기초연구 성과가 임상·중개 연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용화 연구를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임상 적용이 가능한 인공혈액 생산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 인공 적혈구와 혈소판 등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세포주 개발과 인공 적혈구 세포가 실제 적혈구의 특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핵이 사라지게 하는 '탈핵화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아울러 원하는 유전자만 교정하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희귀 혈액 환자도 수혈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만능 공혈용 인공혈액 기술 개발에도 투자한다.
정부는 이와 함께 GMP(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 등급의 표준화된 인공혈액 공정 기술 개발과 자동화 플랫폼 기술 개발 등 인공혈액 제조공정 구축도 지원한다.
이 밖에 정부는 인공혈액의 임상 위해성을 검증하고 효능·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안전성·유효성 평가법을 개발하는 한편 전(前)임상-임상 연구 가이드라인도 마련할 예정이다.
내년도 기획사업 선정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2023년 사업 대상을 선정해 사업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또 기초 연구를 수행한 연구기관과 핵심 기술을 보유한 민간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연구 개발을 추진하도록 할 예정이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