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걸 갖고있다!"…가슴 쓸어내린 NASA

입력 2021-09-06 10:06  

"나는 그걸 갖고있다!"…가슴 쓸어내린 NASA
첫 화성 암석 시료 채취 최종 확인, 2030년대 초 지구로 가져와 정밀분석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미국의 화성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가 화성 암석시료 채취에 성공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5일 퍼서비어런스 트위터 계정을 통해 암석 시료가 보이는 티타늄 관(튜브) 사진과 함께 "나는 그걸 갖고있다"(I've got it!)고 밝히고 시료 처리 과정을 거쳐 밀봉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퍼서비어런스는 지난 1일 '로셰트'(Rochette)라는 이름을 붙인 암석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코어 시료를 채취했다. 그 증거 자료로 암석 시료가 담긴 것이 분명하게 보이는 티타늄 시료관 사진을 찍어 전송했지만 이후에 보낸 사진에서는 검은 그림자만 있고 암석 시료는 확인할 수 없어 로버 담당 과학자들을 당황케 했다.






지난 달 초에 이뤄진 첫 시료 채취 작업에서 암석이 단단하지 않아 실패로 끝난 경험이 있던 터라 불안감은 더 컸다.
지구로 가져와 첨단 장비로 정밀 분석할 토양과 암석 시료를 채취해 보관하는 것이 퍼서비어런스가 맡은 주요 임무라는 점에서 약 27억달러(3조원)가 투입된 탐사 임무 자체가 초반부터 흔들릴 수도 있는 위기였다.
퍼서비어런스 운영팀은 일단 티타늄 시료관의 밀봉 작업을 뒤로 미루고 더 밝은 빛 조건에서 티타늄관 안을 다시 촬영해 전송하도록 로버에 지시했다.
운영팀은 퍼서비어런스가 암석 시료를 채취한 뒤 밀봉 전 티타늄관 마개 부분의 잔여물을 떨어내기 위해 이를 수직 상태에서 1초씩 다섯 차례 흔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암석 시료가 밑쪽으로 내려간데다 어둠이 내리던 상황에 촬영한 이미지에서는 그림자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약 3억9천512만㎞ 떨어진 화성에서 벌어진 일이라 다른 원인으로 암석 시료 채취에 실패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빛의 속도로 재촬영 명령을 전송하고 밝은 빛 조건이 될 때까지 기다려 찍은 사진을 전송받아 확인할 때까지 가슴을 졸일 수밖에 없었다.






결국 운영팀의 바람대로 퍼서비어런스가 밝은 조건에서 촬영한 이미지에는 연필보다 약간 더 두꺼운 암석 시료가 고이 간직돼있는 것이 확인됐다.
이 시료는 인류가 지구 밖 다른 행성에서 채취한 최초의 암석 코어라는 의미를 갖는다. 퍼서비어런스는 이런 암석과 토양시료 40여개를 더 채취해 자체 저장시스템에 보관하게 된다.
첨단 정밀 분석 장비를 화성까지 갖고 갈 수 없어 마련한 차선책으로, 2030년대 초 발사할 우주선을 통해 지구로 가져와 분석하게 된다.
암석 시료가 채취된 예제로 크레이터는 고대 호수의 바닥으로 추정되는 곳으로, 시료를 정밀분석하면 고대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화성의 지질사와 고대 기후에 관한 이해도 넓혀 화성 유인탐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eomn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