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전도사' 정의선 "수소가 기후 변화 해결에 기여할 것"(종합)

입력 2021-09-07 17:34  

'수소 전도사' 정의선 "수소가 기후 변화 해결에 기여할 것"(종합)
8일 출범 수소기업협의체 주도…수소를 글로벌 의제로 끌어올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우리 앞에 있는 지금 이 순간이 수소 사회로 향하는 마지막 열차일 수 있으며, 아까운 시간은 계속 흘러가고 있다."

'수소 전도사'로 불리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7일 그룹의 '수소비전 2040'을 소개하는 '하이드로젠 웨이브' 행사에서 수소사회 구현의 당위성을 거듭 강조했다.
정 회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인류, 지구, 기후변화 등을 여러 차례 힘주어 반복하며 국제적인 협력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정 회장은 지구가 직면한 환경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강력하고 실용적인 해결책이 수소라고 보고 있다.
정 회장은 미디어 간담회에서도 "현대차그룹은 수소가 재생에너지의 한계에 실현 가능하고,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강력한 역할을 한다고 오랫동안 믿어 왔다"며 "수소에너지는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활성화하고 기후 변화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날 2040년을 수소에너지 대중화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상용차의 전면적인 친환경 전환 계획 등을 발표했다.

정 회장은 수소사회 구현을 위해 수소를 글로벌 의제로 끌어올리는 등 국내외에서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7월 미국 방문 당시에도 주요 인사들과 만나 "수소는 사업의 난도도 있고, 단기간 내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는 측면도 있다"며 "하지만 전 지구적 기후변화 해법을 찾는 것은 우리 세대의 의무"라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 세대가 뚫고 나가서 이뤄내지 못한다면, 우리 아들딸 세대가 우리에게 뭐라고 하겠는가. 기후변화를 이렇게 걱정하는데, 아버지 세대는 무엇을 했느냐고 물어볼 것 같다"며 "그런 점에서 난관이 있더라도 우리 세대는 역할을 하고 반드시 극복하고 해내야 한다"고도 했다.

정 회장은 앞서 2017년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 기간 중 설립된 글로벌 최고경영자(CEO) 협의체 '수소위원회'에 창립멤버로 참여했고, 2019년 1월 수소위원회 공동회장에 취임하며 각국 정부와 민간이 공동 협력하는 글로벌 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작년 초 마크 메네제스 미국 에너지부(DOE) 당시 차관을 만나 미국 내 수소 저변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미국 주지사협회 동계회의 리셉션에도 참석해 수소의 친환경성 등을 설명했다.
작년 1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수소위원회 총회에서는 기술 혁신을 통한 원가절감, 일반 대중의 수용성 확대, 수소 밸류체인(가치사슬) 전반의 안전관리체계 구축 등 '수소사회 구현 3대 방향성'을 제시했다.

정 회장은 국내 수소 관련 기업들의 CEO 모임인 '수소기업협의체' 산파역도 맡고 있다.
8일 공식 출범 예정인 수소기업협의체에는 정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이 대거 참여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미 1998년 수소연료전지 개발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매진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의 본격적인 양산 체제를 갖추고 투산 수소전기차(FCEV)를 선보였으며, 2018년에는 넥쏘를 출시했다. 작년 7월에는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 대형트럭 양산 체제를 갖추고 유럽으로 수출을 시작했다.
수소 관련 파트너십도 확대하고 있다.
2018년 10월 프랑스 에어리퀴드, 다국적 에너지기업 엔지 등과, 2019년 6월에는 사우디 아람코와 각각 양해각서를 맺고 수소전기차 보급 등에 협업하고 있다.
작년 11월에는 글로벌 화학기업 이네오스 그룹과 통합 수소 밸류체인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올해 7월에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캐나다 넥스트하이드로젠과 수전해 시스템 공동 개발·사업화 업무협약을 맺었다. 최근에는 수소충전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독일의 'H2 모빌리티'에 투자했다.

국내 기업과의 제휴도 활발하다.
지난 2월 포스코그룹과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 그린수소 생산·이용 관련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SK그룹, GS칼텍스와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으고 있고, 두산퓨얼셀[336260], LS일렉트릭과는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
정 회장은 "글로벌 수소 인프라, 특히 수소 충전소 구축은 수소사회 실현에 매우 기본적인 요소"라며 "이를 위해 민간과 공공 부문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수소위원회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18%를 수소에너지가 차지하고, 시장 규모는 2조5천억달러(한화 약 2천750억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는 60억톤 이상일 것으로 추산된다. 고용 창출 효과는 3천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hanajj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