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수도권 집중화 다시 시작…경기도로 17만6천명 순유입"
서울, 청년층·고학력 인구 유입에도 4만8천명 순유출…집값 부담 영향
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 결과…코로나에 통근·통학 감소
(세종=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공공기관 이전 효과가 사라지자 수도권 인구 쏠림이 다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통근·통학 인구가 감소하고 버스 대신 승용차 등 개인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비중이 커졌다.
통계청은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 인구 특성 항목'을 발표했다. 총조사는 5년마다 시행한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1년 새 수도권 밖에서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는 97만8천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전출한 인구는 86만2천명이다.
11만6천명이 수도권으로 순수하게 유입된 셈으로, 2015년에는 수도권에서 8만5천명이 순유출됐던 것과 대조된다. 2010년에는 3천명이 수도권으로 순유입됐었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2015년에는 수도권에서 혁신도시, 세종시 등으로 유출될 요인이 있었는데 지난해에는 유출 요인이 없어져 수도권 집중화가 다시 시작됐다"며 "수도권 중에서도 경기로의 유입이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인구 집중이 계속되다가 2015년에는 혁신도시 덕분에 한 차례 지방 분산 효과가 나타났으나 단기간 효과에 그쳤다는 것이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계기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제주, 광주·전남, 강원, 충북, 전북, 경북 등 10곳에 조성된 도시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2005년 계획이 수립된 뒤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졌고 2019년 마무리됐다.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 규모를 보면 충남(6만2천명)이 가장 많았고 강원(4만6천명), 충북(3만5천명) 등이었다.
수도권 전입 인구를 연령별로 보면 20대(42.9%), 30대(18.5%), 20대 미만(12.5%) 순으로 20∼30대의 비중이 높았다. 교육정도별로는 4년제 대학(48.2%), 고등학교(18.9%), 2·3년제 대학(13.3%) 등이었다.
통계청은 "서울로 전입한 인구를 보면 인천이나 경기로 전입한 인구보다 20대(49.9%)와 대학교 이상(65.9%) 비중이 높았다"면서 "청년층·고학력 인구가 학교나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유입되는 현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전입 인구가 전출 인구보다 많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17만6천명), 경남(1만5천명), 세종(1만명) 등이다.
경기는 전국으로부터 52만3천명이 전입하고 34만8천명이 전출해 17만6천명이 순유입됐다. 이는 2015년(7만4천명), 2010년(16만7천명)보다 많은 규모다.
서울은 35만4천명이 전입하고 40만2천명이 전출해 4만8천명이 순유출됐다.
전국에서 순유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 서울이다. 이어 경북·부산(각각 2만7천명), 충남(2만2천명) 순으로 순유출 규모가 컸다.
인천은 10만1천명이 전입하고 11만2천명이 전출해 1만2천명이 순유출됐다.
서울에서 빠져나간 인구 가운데 26만6천명은 경기에 자리잡았다. 2만7천명은 서울에서 인천으로 이동했다. 비수도권으로 이동한 인구는 10만9천명이다.
역으로 경기에서 서울로 이동한 인구는 18만명이었다. 서울에서 경기로 8만6천명이 순유입된 셈이다.
정남수 과장은 "경기 김포·동탄 등에 아파트 신규 입주가 많이 이뤄져 (서울에서) 경기로 인구가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 인구가 경기로 빠져나간 데는 집값 부담도 작용했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다만 서울에서 경기로 순유출되는 인구는 2010년(15만1천명), 2015년(11만1천명), 2020년(8만6천명)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1년 전과 거주지가 달라진 1세 이상 인구 비율을 가리키는 1년 전 거주지 이동률은 16.6%로 2015년 조사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이중 시군구 경계를 벗어난 이동률은 7.2%로 1.6%포인트 올랐다.
우리나라 인구의 출생지를 보면 서울이 16.3%로 가장 많고 이어 경기(13.6%), 경북(8.7%) 순이었다.
출생지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중이 높은 시도는 제주(63.3%), 전남(60.4%), 전북(58.8%) 순이다.
12세 이상 인구의 통근·통학률은 61.8%로 2015년(66.7%)에 비해 4.9%포인트 내렸다.
수도권의 시도 간 통학·통근 인구는 237만7천명으로 경기에서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인구가 125만6천명이었다.
전체 통근 ·통학인구 2천801만2천명의 이용 교통수단을 보면 승용차·승합차의 비중이 43.7%로 2015년 대비 6.3%포인트 늘었고 '걸어서'(18.3%)는 6.0%포인트 줄었다.
정남수 과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통근·통학하는 인구 비중이 감소했고 교통수단 측면에서도 대면 접촉을 피하고자 개인 이용수단 이용은 늘고 다중 이용 수단 이용은 줄었다"고 말했다.
도보 이동이 줄어든 것은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확대로 통학하는 인구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평균 통근 시간은 2015년 대비 0.4분 줄어든 30.8분, 평균 통학 시간은 3.4분 줄어든 26.2분으로 조사됐다.
시도별 통근·통학 소요시간은 서울이 37.2분으로 가장 길었고 경기 35.3분, 인천 35분 순이었다.
momen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