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소규모 가전 전시회로 출발한 美CES…미래기술 총집합

입력 2022-01-02 15:55  

1967년 소규모 가전 전시회로 출발한 美CES…미래기술 총집합
전자·IT·모빌리티·가상현실 등 아우르는 대규모 전시회로 성장
코로나19로 올해 행사 규모·일정 축소…한국 존재감 부각될 듯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코로나19 대유행이 지속되는 가운데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2'에 산업계의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1967년 소규모 가전 행사로 시작된 CES는 매년 해를 거듭하며 규모와 범위를 확대해 왔다.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에는 온라인으로, 올해는 규모가 이전보다 축소된 채로 진행되지만 '지상 최대 산업 기술 전시회'라는 명맥은 변함없이 이어가고 있다.



2일 CES를 주최하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에 따르면 CES는 1967년 6월 24일 미국 뉴욕에서 처음 열렸다.
당시 전시회는 '시카고 라디오 쇼'라는 전시회에서 떨어져 나온 소규모 가전 행사로 참가한 가전 업체는 100여곳, 방문객 수는 1만7천여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CES는 1978년부터 1994년까지는 매년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6월 시카고에서 2차례 개최됐었다. 그러다 썸머(여름) CES가 크게 인기를 끌지 못하자 1998년부터 연초에 라스베이거스에서 한 차례 열리는 행사로 전환됐다.
이후 CES는 해마다 몸집을 불리며 55년이 지난 현재 가전뿐만 아니라 IT, 모빌리티(운송수단), 가상현실, 우주 등 미래 신기술을 모두 아우르는 전시회로 성장했다.
글로벌 전자·IT, 모빌리티, 통신 기업들이 최첨단 제품과 기술을 CES를 통해 세상에 데뷔시키며 저마다 기술력을 뽐내는 권위 있는 경연장으로 자리매김 한 것이다. 매년 초 세계 산업계 기술의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어 일반 소비자들의 관심도 크다.
그동안 CES에서 발표된 신제품·기술은 70만개가 넘으며, 이 중에는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제품·기술도 많이 포함돼 있다.



주최 측이 꼽은 '세상을 바꾸는 혁신' 제품·기술로는 1968년 컴퓨터 마우스, 1970년 비디오카세트 리코더(VCR), 1981년 캠코더 및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1996년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1998년 고화질 텔레비전(HDTV) 등이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X박스와 플라스마 TV(2001년), 블루레이 DVD(2003년), IPTV(2005년), OLED TV(2008년), 3D HDTV(2009년), 구부러지는 플렉서블 OLED(2013년), 3D 프린터 및 웨어러블 기술(2014년), 가상현실(2015년) 등이 CES를 통해 세상에 등장했다.
글로벌 가전·TV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도 CES에서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0년부터 올해까지 CES의 포문을 여는 기조연설(Keynote)에 6차례 참여했다. LG전자는 CES 2019 기조연설에서 로봇·AI를 통한 라이프스타일 혁신을 강조했다.



최근 수년 사이에는 자동차 등 모빌리티 관련 신기술이 CES에 대거 등장하며 '모빌리티 시대' 트렌드가 확연해지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모터쇼'라는 별칭까지 나왔다.
2011년부터 미국 포드, 제네럴모터스(GM),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폴크스바겐 등 자동차 업체 CEO들이 기조연설자로 무대에 오르고 있다.
올해 CES에서는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을 비롯해 미국 자동차 회사 GM의 메리 바라 회장, 퀄컴의 크리스티아노 아몬 CEO, 헬스케어 기업 애보트의 로버트 포드 CEO 등이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올해 행사에서는 헬스케어, 푸드테크(식품기술), 미래 모빌리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AI 기반 자동화 등이 주요 키워드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행사가 온라인으로 대체됨에 따라 CES는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리지만, 미국에서 코로나19의 새 변이인 오미크론 확산세가 거세지고 있어 행사 규모는 크게 축소됐다.
최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메타(구 페이스북), 트위터, GM 등 다수 주요 업체들이 대면 행사 불참을 선언했으며, 주최 측도 행사를 하루 앞당겨 7일에 조기 폐막한다고 발표했다.
주최 측의 최신 공지에 따르면 CES 2022 전시업체는 2천200여곳으로,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전의 행사 당시 평균 4천여개 이상과 비교하면 반 토막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올해 행사의 맥이 빠졌다는 지적도 나오지만, 코로나19 시대에 모처럼 대면으로 열리는 산업 전시회여서 업계의 관심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참가 규모는 더 커져 이번 CES에서 한국의 존재감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는 CES 2022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이 500여개사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행사 현장에 전시 부스를 마련한 한국 기업은 420여곳인 것으로 전해졌다.
참가하는 한국 업체 중 절반 이상인 290여개사가 스타트업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중에서는 삼성, 현대차[005380], SK, LG, 포스코[005490], 현대중공업[329180], 두산[000150] 등이 CES 2022에 참가한다.
신한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CES에 참가하며, 서울시는 3년 연속 '서울관'을 열고 서울 소재 혁신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