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조류 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크게 줄었던 산란계 마릿수가 평년 수준을 회복했다.
하지만 실제 알을 낳을 수 있는 월령 6개월 이상의 산란계 마릿수는 아직 AI 피해 이전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4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작년 12월 1일 기준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7천261만2천마리로 1년 전보다 3만3천마리 늘었다. 작년 3분기보다는 189만마리(2.7%) 증가했다.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2020년 12월 7천258만마리였으나 AI 확산으로 대규모 살처분이 이뤄져 작년 3월 6천211만마리로 급감했다. 이후 차례로 재입식이 이뤄짐에 따라 작년 6월 6천587만1천마리, 9월 7천72만2천마리, 12월 7천261만2천마리 등으로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이번 분기에 평년 수준을 회복했고, 6개월 이상 마릿수는 회복 추세에 있다"고 말했다.
산란계는 대개 6개월 이상부터 달걀을 낳는다. 6개월 이상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지난달 5천235만3천마리로 1년 전(5천522만4천마리)보다 5.2% 줄어든 반면 3개월 미만 마릿수는 1천78만5천마리로 1년 전보다 27.8% 증가했다.
지난달 1일 기준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355만5천마리로 1년 전보다 16만마리(4.7%) 증가했다. 송아지 가격이 오르면서 송아지를 낳는 번식우 사육이 늘었다.
젖소 사육 마릿수는 40만1천마리로 1년 전보다 8천마리(2.0%) 감소했다.
돼지는 1천121만7천마리로 1년 전보다 13만9천마리(1.3%) 증가했다.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자 모돈(어미돼지) 사육이 늘면서 4개월 미만 마릿수가 늘었다.
육계는 9천360만4천마리로 1년 전보다 123만1천마리(1.3%) 감소했다. 2020년 12월 AI 검역에 따른 출하 지연으로 마릿수가 크게 늘었던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오리 사육 마릿수는 675만2천마리로 1년 전보다 117만7천마리(14.8%) 줄었다. 오리사육 휴지기 제도와 AI 때문에 오리를 들여다 키우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momen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