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호황 정점 언제…"이르면 올하반기 변곡점"

입력 2022-01-28 16:49  

글로벌 반도체 호황 정점 언제…"이르면 올하반기 변곡점"
호실적에 대규모 투자 계획 쏟아지지만 전문가 "수요 꺾일 수 있어"
고물가·금리인상에 경기둔화 우려…정부 보조금 겹쳐 생산 급증 전망도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반도체 수요가 늘고 수급난이 이어지면서 반도체 업계는 호실적을 누리고 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이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제조업체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짰고 미국 등 정부는 반도체 공장 유치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이런 호황을 누리는 기간이 그리 길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부 전문가는 이르면 올 하반기에 업황이 꺾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반도체 업계가 호황을 누리면서 업체들은 대규모 투자계획을 잇달아 내놨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는 지난 13일 올해 설비투자에 최대 440억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300억달러에서 늘어난 것으로, 2019년 설비투자액의 3배에 달한다.
미국 인텔은 올해 270억달러를 쏟아부을 계획이다. 인텔은 지난 21일 총 200억달러를 들여 미 오하이오주에 반도체 제조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추후 6개 공장을 추가로 건설, 향후 10년간 총 1천억달러가 소요될 것이라고 인텔은 설명했다.
삼성전자 역시 올해 설비투자액이 작년의 330억달러를 넘어설 것임을 예고하는 등 공격적인 구상을 밝혔다.
독일 인피니온 등 소규모 반도체 기업 역시 투자에 돈을 아끼지 않고 있다.
반도체 전문 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업계의 설비투자액은 34% 증가, 2017년 이후 가장 많았다.
반도체를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고객사 입장에서 보자면 이런 자금 투자는 반가운 소식이다. 그러나 수요는 빨리 변하기 마련이라는 점에서 우려되는 부분도 있다. 공장 건립에 드는 기간은 2년 이상. 수요는 그보다 빨리 식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코로나19 봉쇄 기간에 호황을 누렸던 스마트폰 판매도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모건스탠리는 반도체 구매기업의 55%가 이중 주문을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공급 부족 등을 이유로 수요를 일부러 부풀린다는 것이다.
여기에 높은 물가상승률과 금리 상승 등의 요인이 겹쳐 경제 성장에 타격을 주고 반도체 수요 역시 꺾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영국의 시장조사업체 퓨처호라이즌의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맬컴 펜은 반도체 사업은 1950년 등장 이후 일정 주기를 보이며 움직였다며, 올 하반기나 내년 초에 변곡점을 맞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정부의 공장 유치 등의 노력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반도체 부족 현상과 첨단기술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은 정치인들에게 반도체의 중요성과 함께 특정 기업에 의존하는 현실을 깨닫게 했다. 그 해법으로 미 정부가 제시한 것은 보조금을 주고 공장을 유치하는 것이었다.
업체들 역시 이를 잘 활용하고 있다. 마크 리우 TSMC 회장은 2020년 미 애리조나에 공장을 짓자고 회사를 설득하는 데 이런 보조금이 필수라고 사실상 실토한 바 있다.
인텔도 주 정부의 인센티브 등을 고려해 오하이오를 공장 부지로 택하기도 했다.
펜 CEO는 반도체 회사의 풍부한 투자자금에 정부 자금까지 더해지면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생산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리고 최대 호황을 누릴수록 부진의 골 역시 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업황이 달라지더라도 이전과는 다를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보이는 업체도 있다.
웨이저자(魏哲家) TSMC CEO는 하락장이 오더라도 모든 업체가 똑같이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며, 첨단 기술력 덕분에 자사는 변동성이 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새 생산능력의 상당 부분은 이미 최신 아이폰을 위해 애플사와 장기 계약으로 예약됐다고 덧붙였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