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응애·말벌에 의한 폐사에 더해 이상기온까지 복합 작용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최근 발생한 소위 '꿀벌 실종' 사태는 해충과 말벌, 이상기온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올봄 꿀벌응애(해충) 방제 등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관 관계자는 14일 "이번 봄에 기생성 응애 방제를 제일 잘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올겨울에 이번과 같은 피해가 반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를 위해 꿀벌응애 친환경 방제기술과 무인기(드론) 이용을 통한 검은말벌 조기 방제 기술 등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앞서 농림축산검역본부, 지방자치단체, 한국양봉협회와 지난 1월 7일부터 2월 24일까지 전국 9개도 34개 시·군 99호의 양봉 농가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전국에 걸쳐 꿀벌 폐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역적으로는 경기·강원·충청 등 전국에 걸쳐 나타났지만, 특히 전남·경남·제주 지역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다.
농촌진흥청은 양봉농가의 월동 꿀벌 피해 원인은 지난해 발생한 꿀벌응애류, 말벌류에 의한 폐사와 이상기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판단했다.
응애류는 발육 번데기에 기생하고, 말벌류는 벌통 출입구에서 일벌을 포획해 막대한 피해를 준다.
또 지난해 9∼10월 저온 현상으로 꿀벌의 발육이 원활하지 못했고 11∼12월에는 고온으로 꽃이 이른 시기에 개화했다.
국립농업과학관 관계자는 "이번 상황이 전염병에 의한 것이 아니라서 전국적으로 퍼져나가거나 그런 것은 아니다"며 "봄철부터 상황을 연중 모니터링해 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