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국경봉쇄로 보건·식량 위기 가능성…中 발병으로 다시 폐쇄한 듯"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아직 시작하지도 않은 나라는 북한과 아프리카 에리트레아 2곳뿐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코로나19 발병 이후 북한의 국경 봉쇄로 인한 주민의 인도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언제 봉쇄를 풀지 징후가 없다며 북한 상황을 소개했다.
WP는 북한이 중국과 최소한의 무역을 제외하고는 국경을 닫아 보건 및 식량 위기 가능성이 있다면서, 코로나19 관련 제한이 북한의 전염병 대유행을 막은 것처럼 보이지만 좀 더 넓은 범위의 보건과 경제적 결핍 등 상당한 비용을 치른 것 같다는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보고서를 인용했다.
킨타나 보고관은 국제사회를 향해 북한 인구 2천500만 명을 접종하기 위해 6천만 회 접종분을 북한에 들여보낼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300만 회 접종분의 중국 시노백 백신을 거부했고, 부작용을 우려해 200만 회 접종분의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도 거절했다.
국제 백신 공급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는 북한에 배정한 AZ와 노바백스 백신 154만 회분 물량을 취소했다고 이달 초 밝혔는데, 이후 183만 회분을 다시 배정했다는 보도가 지난 12일 나오기도 했다.
미국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을 선호함을 시사했다며, 북한의 백신 미접종은 북한이 새로운 변이의 진앙이 될 위험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WP는 북한이 작년 말 통제 위주에서 선진 방역, 인민 방역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언급하며 방역 조처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최근 중국의 대규모 발병으로 인해 또다시 고립 정책으로 돌아갔을 수 있다는 전문가 견해를 전했다.
안경수 한국 통일의료연구센터 센터장은 북한이 올 초 기차가 중국 국경을 잠시 넘어가는 등 국경 재개통의 신호를 보인 적이 있다면서도 "중국 본토의 바이러스 급증은 북한이 다시 엄격한 고립 속으로 되돌아가게 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CSIS는 경구용 치료제가 북한의 재개방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mRNA 백신이 정교한 냉장유통과 물류가 필요한 반면 경구용 알약은 좀 더 쉽게 유통될 수 있기 때문이다.
킨타나 보고관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북한의 인도적 위기 가능성에 대비해 국제사회가 북한의 재개방을 설득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